수천톤 폐기물 방치 속 장기화된 화재
환경단체, 책임자 처벌·전수조사 촉구
| 한스경제=하태민 기자 | 전남 광양항 배후단지 내 물류 보관창고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가 나흘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역 환경단체가 책임자 처벌과 전면적인 실태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광양환경운동연합은 16일 성명을 내고 "이번 화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닌 총체적인 관리 실패가 드러난 환경 참사"라며 "책임자에 대한 엄정한 처벌과 전수조사를 통해 재발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 13일 오전 8시38분쯤 광양항 동측 배후단지 내 A업체 창고에서 발생한 화재는 나흘이 지난 현재까지도 진화되지 않고 있다. 소방당국은 "잔불까지 완전히 진화하려면 최소 한 달 이상 소요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해당 창고에는 3000톤 규모 알루미늄 광재 톤백(750kg) 4000여개가 적치돼 있었으며 이 중 1000개가 화재로 연소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근 창고에도 유사 물질 6000톤가량과 함께 정체불명 폐기물이 무단 방치돼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로 인해 중마동, 광영동, 금호동 등 인근 지역 주민들은 연일 매연과 분진에 시달리고 있으며 건강 피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광양시는 전날 이동식 대기 측정 차량을 현장에 투입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측정을 진행했고 '이상 없음'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환경단체는 "화재가 장기화되며 누적된 매연에 대한 장기 노출 피해 여부는 추가적인 검사 방식과 과학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광양환경연은 "소방 당국이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도 관계 행정기관은 공동 대응이나 대책 논의조차 없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였다"며 "이번 사태는 항만 배후단지에 대한 구조적 관리 부실이 빚어낸 예견된 재난"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여수광양항만공사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도 수년간 폐기물 방치를 묵인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상급기관 차원 감사와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단체는 이번 사태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책임자 처벌 △배후단지 전수조사 △종합적 화재·환경 관리체계 마련 △제도 개선 및 폐기물 관리 대책 수립 등을 요구했다.
하태민 기자 hamong@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