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연합뉴스.

| 한스경제=양지원 기자 | 뉴욕증시가 소비심리 둔화와 기술주 강세가 맞물리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경기 민감 업종은 투자심리 악화로 약세를 보였지만, 금리 인하 기대가 이어진 기술주는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3.78포인트(0.59%) 내린 4만5834.2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18포인트(0.05%) 하락한 6584.29를 기록했고, 나스닥종합지수는 98.03포인트(0.44%) 오른 2만2141.10으로 장을 마감했다. S&P500과 나스닥은 이날도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장 초반 증시는 전날 발표된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결과를 반영하며 보합권에 머물렀다. 그러나 9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가 55.4로, 전달(58.2)과 시장 전망치(58)를 모두 밑돌자 경기순환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확대됐다. 다우지수 종목 중 비자, IBM, 세일스포스, 아메리칸익스프레스, 머크, 암젠 등이 2% 안팎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심리 위축이 연말 소비 전망에도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기술주는 전반적으로 강세를 이어갔다. 테슬라는 인공지능·로봇 사업 확장 기대에 힘입어 7.36% 급등하며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강세를 보였다. 아마존을 제외한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 기술기업들도 모두 올랐다. 마이크론테크놀러지는 AI 수요 확대 기대감으로 4% 이상 상승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다만 오라클은 단기 급등 이후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며 5.09% 하락, 시가총액이 8300억달러까지 줄었다.

미디어·엔터테인먼트주도 주목받았다. 워너브로스디스커버리는 인수설에 힘입어 16% 이상 폭등했고, 파라마운트스카이댄스도 7.62%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기술, 통신서비스, 유틸리티, 임의소비재가 올랐고, 의료·헬스케어 업종은 1.13% 떨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오는 12월까지 기준금리를 75bp(1bp=0.01%p) 내릴 가능성은 75.7%로 집계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0.05포인트(0.34%) 상승한 14.76을 기록했다.

양지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