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김슬아 대표 "창업 이래 가장 큰 투자"
컬리-네이버,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컬리N마트' 공개
대중적 상품, 생활 밀착형 상품 중심 구성 및 새벽배송
네이버의 접근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고객 확보 기대
김슬아 컬리 대표 / 네이버 제공
김슬아 컬리 대표 / 네이버 제공

| 한스경제=이현령 기자 | “400만 유저를 확보한 강력한 플랫폼인 네이버와의 협업이 거래액과 매출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김슬아 컬리 대표는 9일 서울 네이버스퀘어 종로에서 열린 ‘네이버 커머스 밋업 with 컬리’ 행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김슬아 컬리 대표, 이윤숙 네이버 쇼핑사업 부문장, 정경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프로덕트 리더 등이 참가했다.

김 대표는 이날 “모두가 꿈꿨지만, 한 번도 구현하지 못한 장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컬리N마트’를 시작했다”라며 “장보기는 상품 품질, 배송, 상품 구색 등이 필요해 어려운 서비스다. 컬리와 네이버는 각각 다른 강점이 있어 이 어려운 걸 함께 해낼 수 있는 파트너십”이라고 말했다.

앞서 컬리와 네이버는 지난 4일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컬리N마트’를 공개했다. 컬리는 네이버를 통해 컬리의 자체브랜드(PB)상품은 물론 신선식품, 생필품 등 생활에 밀접한 장보기 중심 상품들을 제공한다. 해당 상품들은 오후 11시 전에 주문하면 컬리 물류 인프라를 활용한 샛별배송 서비스로 제공된다. 2만 원어치 이상 구매할 경우 무료 배송 혜택도 제공한다. 컬리는 앞으로도 식품, 생활 및 주방용품 등 상품을 지속 추가할 방침이다.

김 대표는 “서비스를 론칭하면서 양사의 기존 역량을 어떻게 시너지를 높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을까 고민했다”라며 “네이버의 강점인 검색 및 유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천은 물론, 마케팅 노출을 강화해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 유저 모두 컬리 서비스를 알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유저와 컬리 유저의 라이프스타일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해 이번 파트너십이 동반 성장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라며 “컬리 유저는 프리미엄 상품 및 희귀성 있는 상품을 선호하는 반면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의 고객들은 대중적이고 친숙한 상의 수요가 높았다. 4인 가족 중심으로 소비량이 많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컬리는 이를 바탕으로 컬리N마트에 대용량 상품을 늘리고 기존에 취급하지 않았던 5000여 종의 상품도 추가했다.

또 “컬리도 저렴한 상품들을 제공하지만 품질을 중시한 큐레이션 및 트렌디한 서비스가 고객들의 부담을 높여 진입장벽을 강화한 약점이기도 했다”라며 “컬리N마트로 컬리의 저렴한 상품들을 발견한 고객들이 많아져 앞으로 고객 저변이 더 넓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양사의 강점들을 하나의 결합된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과 시간이 투자 됐다. 창업한 이래 가장 큰 투자를 했다고 생각한다"라며 "이미 투자된 걸 생각하면 무조건 잘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오른쪽부터) 이윤숙 네이버 쇼핑사업 부문장, 김슬아 컬리 대표, 정경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프로덕트 리더 / 이현령 기자
(오른쪽부터) 이윤숙 네이버 쇼핑사업 부문장, 김슬아 컬리 대표, 정경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프로덕트 리더 / 이현령 기자

컬리는 지난 1일부터 네이버에 입점한 셀러들에게 새벽 배송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컬리의 물류센터와 콜드체인 기술로 기존 컬리 고객을 대상으로 한 배송과 동일한 품질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컬리의 물류 자회사 ‘컬리넥스트마일’이 네이버 풀필먼트 얼라이언스(NFA)에 합류했다.

김 대표는 “컬리N마트에 더해 네이버 셀러들에게도 물류와 배송 인프라를 확대하면 물동량이 증가해 인프라의 효율화와 배송 단가가 재무적으로 개선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파트너사에게도 판매 확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네이버 측의 러브콜로 성사됐다. 네이버는 컬리가 국내에서 프리미엄 상품 구색과 신선식품 배송이 가능하다는 점은 물론 성장 가능성도 높다는 점을 고려했다.

이 부문장은 “풀 콜드체인 시스템과 새벽배송 서비스에는 투자가 많이 필요해 파트너십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었다”라며 “컬리 측도 네이버와의 제휴를 통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트래픽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컬리와 네이버는 이번 파트너십으로 장보기 서비스를 강화해 네이버 사용자들의 ‘단골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네이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를 통해 맺어진 판매자와 고객 간 단골 관계가 약 8.1억 명에 달한다. 네이버는 오는 2026년 12월 단골 관계가 10억 명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한다.

김 대표는 “더 많은 고객을 확대하기 위해 외부 플랫폼과의 제휴 고민이 많았다”라며 “이번 파트너십으로 컬리가 도달하지 못했던 새로운 고객들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령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