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10대 생보사 조기 해지율 34.8%
"장기상품이지만 노후대비 역부족"
더불어민주당 허영(왼쪽 둘째) 원내정책수석이 8월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노조법 2·3조 개정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허영(왼쪽 둘째) 원내정책수석이 8월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노조법 2·3조 개정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한스경제=김현경 기자 |  상위 10개 생명보험사의 변액저축성보험이 노후 대비와 인플레이션 방어라는 본래 취지와 달리 조기 해지율이 높고 수익률도 저조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자산 규모 상위 10개 생보사(농협생명 제외)의 변액저축성보험 해지 계약 중 34.8%가 5년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지 환급률도 부진했다. 5년 미만 유지 계약의 평균 환급률은 104.9%였지만 이는 최근 미국 증시 등 기초자산 수익률이 높았던 특수 상황에 따른 결과였다. 10년 이상 유지 계약의 환급률은 102.1%로 사실상 원금 수준에 그쳤다. 같은 기간 누적 물가상승률 약 20%를 감안하면 실질 가치는 줄었으며, 현재 판매 중인 비변액 저축보험(10년 기준 103~127%)에도 못 미쳤다.

허 의원은 원인으로 보험사의 고비용·저효율 펀드 구성, 운용 및 상품 설계 역량 부족, 소비자 대상 교육·정보 제공 미흡을 지적했다. 단기 수익을 기대했다가 원금 수준의 환급률에 실망해 해지하는 소비자도 많다고 설명했다.

허 의원은 "변액저축성보험은 노후 대비를 목적으로 설계된 장기상품임에도 조기 해지가 많고 장기 계약도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한다"며 "금융당국은 불완전 판매와 운용 능력 부족, 소비자 교육 미흡 여부를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경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