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전기차 경쟁력 확보 위한 제도적 뒷받침 필요"
| 한스경제=이성철 기자 | 올해 국내 전기차 시장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48.4%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25년 1~8월 국내 전기차 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8월 전기차 판매량은 2만4409대로 4월 이후 5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이어갔다.
올해 1~8월 누적 전기차 판매량은 14만2456대로 지난해 연간 판매량(14만6734대)에 근접해 9월 중 이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신규 등록 차량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8.9%에서 12.7%로 3.8%포인트 증가했다.
판매량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은 신차 출시 효과였다. 지난 5월 국내에 출시된 테슬라 신형 '모델 Y'가 2만8000대 이상 판매되며 시장을 이끌었고, 기아 'EV3', 현대 '레이 EV', '캐스퍼 일렉트릭' 등 가격경쟁력을 갖춘 보급형 소형 전기차들이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환경부가 올해 2월 전기차 보조금 지급을 전년보다 빠르게 시작하면서 2월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560% 급증한 1만3128대를 기록했다. 제조사들의 할인과 연계한 추가 보조금 정책도 전기차 가격 하락을 유도했다.
제조사별로는 기아가 'EV3', 'EV6', '레이 EV' 등의 판매 호조와 신차 'EV4' 출시로 브랜드 1위를 차지했다. 현대는 '더 뉴 아이오닉 5', '캐스퍼 일렉트릭', '아이오닉 9'의 판매 호조로 2위를 기록했고 테슬라는 '모델 Y 주니퍼'의 높은 인기로 3위에 올랐다.
국산 전기차는 전년 동기 대비 48.2% 증가한 8만6777대가 판매돼 전체 시장의 60.9%를 차지했다. 수입 전기차는 48.6% 증가한 5만5679대가 판매됐는데 이중 중국산 전기차는 69.4% 급증한 4만2932대로 전체 전기차 시장의 30.1%를 점유해 주목받고 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현시점은 대미 수출이 제한되고 현지 전기차 생산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내수 전기차 시장을 활성화하는 것이 국내 전기차 경쟁력 유지를 위한 대안"이라며 "국산 전기차의 가격 경쟁력 확보와 국내 제조 기반 유지를 위해 '국내생산촉진세제' 등의 인센티브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성철 기자 leesc@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