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026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챔피언스리그 TWO(ACLT) 참가 K리그 4개 팀 미디어데이에 참석한 각 구단 감독들. /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 한스경제=류정호 기자 | 아시아 무대에 도전장을 내민 프로축구 K리그1(1부) 4룡(龍) 감독들이 한 목소리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외국인 선수 쿼터 완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4일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2025-2026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챔피언스리그 TWO(ACLT) 참가 K리그 4개 팀 미디어데이가 열렸다. 울산 HD, 강원FC, FC서울, 포항 스틸러스가 K리그를 대표해 아시아 무대에 나선다. 울산, 강원, 서울은 ACLE, 포항은 ACLT에 출전한다.

행사에는 신태용 울산 감독과 김영권, 정경호 강원 감독과 이유현, 김기동 서울 감독과 김진수, 박태하 포항 감독과 김인성이 자리했다. 이들은 대회 각오를 밝히는 한편, 리그와 ACL 병행 전략, 외국인 쿼터 문제, 추춘제 전환 등 K리그의 주요 현안을 놓고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

가장 뜨거웠던 주제는 외국인 선수 제한이었다. 최근 AFC가 ACL 외국인 쿼터를 폐지하면서 유럽 출신 스타들을 대거 영입한 사우디아라비아 구단들이 자본력을 앞세워 아시아 정상권을 장악했다. 지난 시즌 ACLE 4강에 오른 4팀 가운데 3팀이 사우디아라비아 구단이었다는 사실은 K리그 지도자들에게 큰 문제의식을 안겼다.

2025-2026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챔피언스리그 TWO(ACLT) 참가 K리그 4개 팀 미디어데이에 참석한 각 구단 감독들. /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2025-2026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챔피언스리그 TWO(ACLT) 참가 K리그 4개 팀 미디어데이에 참석한 각 구단 감독들. /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신태용 감독은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ACL 출전팀만큼은 외국인 쿼터를 풀어야 한다”며 “조호르 같은 동남아시아 구단도 9~10명의 외국인 선수가 뛰고 있다. 리그는 형평성 차원에서 제한이 필요하겠지만, 아시아 무대에 도전하는 팀들은 더 많은 외국인을 활용할 수 있어야 의미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아시아의 호랑이라고 불리지만 ACL에서 예선 탈락한다면 의미가 없다. 8강, 4강에서 경쟁할 수 있는 전력을 갖춰야 K리그 위상이 올라간다”고 강조했다.

김기동 감독도 “예전엔 우리보다 한참 아래로 보던 동남아 팀들이 외국인 선수에 투자하면서 전력이 확 달라졌다”며 위기감을 드러냈다. 정경호 감독은 “올해가 강원의 첫 ACLE 출전이라 직접 부딪히면서 차이를 체감해 보고 싶다”고 했고, 박태하 감독은 “프로축구연맹 기술위원장 시절부터 고민했던 문제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구단이 재정 여건을 따라갈 수 없어 제도 개선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추춘제 전환 문제도 이어졌다. 현재 K리그는 춘추제로 시즌을 치르고 있다. 유럽은 오래전부터 추춘제로 운영돼 왔고, 일본 J리그도 내년부터 추춘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신태용 감독은 “한국도 결국 바뀌어야 한다. 겨울이 춥더라도 그라운드에 열선을 깔고 팬들이 덜 힘들게 관람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기동 감독은 “세계적인 흐름을 따르는 건 맞지만, 경기장 시설 보강 등 제반 조건이 먼저 마련돼야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정경호 감독은 “우리나라 특성상 한여름엔 더위, 겨울엔 추위 문제가 있어 쉽게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며 단계적 접근 필요성을 언급했다. 박태하 감독 역시 “세계적 추세를 따라야 하지만 재정과 시설 문제 때문에 실제로 도입하기는 쉽지 않다”고 공감했다.

류정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