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하반기부터 ESS 전용 LFP 배터리 양산
| 한스경제=김창수 기자 | SK온이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미국 현지 생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북미 ESS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계약 물량 규모는 최대 7.2기가와트시(GWh)로 업계에서는 이를 약 2조원대로 추정하고 있다.
SK온은 미국 콜로라도주에 본사를 둔 재생에너지 기업 ‘플랫아이언 에너지 개발(Flatiron Energy Development, 이하 플랫아이언)’과 1기가와트시(GWh) 규모 ESS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SK온은 플랫아이언이 추진하는 매사추세츠주 프로젝트에 LFP 배터리가 탑재된 컨테이너형 ESS 제품을 2026년에 공급한다.
SK온은 플랫아이언이 2030년까지 매사추세츠주를 포함한 미국에서 추진하는 6.2GWh 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우선협상권도 확보했다. 이로써 양사 협의를 통해 2026년부터 4년간 최대 7.2GWh 규모 ESS 제품을 공급하게 된다.
SK온은 내년 하반기부터 ESS 전용 LFP 배터리 양산에 돌입한다. 이를 위해 미국 조지아주 SK배터리아메리카 공장 전기차 배터리 생산 라인 일부를 ESS 라인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SK온은 전기차 대비 크기와 무게 제약이 적은 ESS 제품에 가격 경쟁력과 안정성이 높은 LFP 파우치 배터리를 적용한다.
SK온 ESS 제품은 공간 효율성이 높은 파우치 배터리를 적재, 고전압 모듈을 적용한 것이 장점이다. 일반적으로 ESS 제품은 일정 전압 확보를 위해 랙(Rack) 단위 설계가 필요하다. SK온은 랙보다 더 작은 단위인 모듈 기반 설계로 용량을 유연하게 구성하는 고객 맞춤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석희 SK온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7월 열린 ‘SK이노베이션 기업가치 제고 전략 설명회’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미국 ESS 시장에 적극 진출, 사업 영역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이번 계약은 SK온이 지난해 12월 ESS 사업실을 대표이사 직속 조직으로 격상해 사업 역량 강화에 나선 이후 거둔 괄목할 만한 성과로 꼽힌다.
SK온은 ESS용 LFP 배터리 생산으로 제품 라인업과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 전기차 수요 둔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안정적 성장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올해 말 예정된 국내 배터리 ESS 장주기 프로젝트 대응을 위한 LFP 국내 생산 계획도 수립하고 있다. 이밖에도 SK온은 전기차용 LFP 배터리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주요 완성차 고객사와 수주를 논의하고 있다.
최대진 SK온 ESS사업실장은 “이번 계약은 SK온이 배터리 케미스트리와 사업 포트폴리오를 동시에 확장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첨단 배터리 기술과 현지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추가 고객사를 확보해 북미 ESS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나단 푸어 플랫아이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기술력과 현지 생산 능력을 지닌 글로벌 배터리사와의 협력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며 “SK온과 이번 파트너십을 계기로 예정된 복수의 프로젝트에서도 협력을 이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플랫아이언은 2021년에 설립된 대규모 ESS 개발 및 운영 특화 재생에너지 개발사다.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부지 확보부터 설계, 시공, 운영에 이르기까지 ESS 사업 전 과정을 총괄하고 있다.
김창수 기자 charles@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