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오는 3일부터 30일까지 청담 MCM하우에서 전시 진행
(오른쪽부터) 김해리 MCM 일본 대표,  타츠히코 아카시 메디콤토이 CEO, 이사오 우에하라 인덴야 대표, 아티스트 켄 야시키, 노부키 히즈메 / 이현령 기자
(오른쪽부터) 김해리 MCM 일본 대표,  타츠히코 아카시 메디콤토이 CEO, 이사오 우에하라 인덴야 대표, 아티스트 켄 야시키, 노부키 히즈메 / 이현령 기자

| 한스경제=이현령 기자 | “갤러리 공간을 넘어 친숙하고 재미있는 공간이 되고자 이번 전시를 기획했다.”

김해리 MCM 일본 대표는 2일 서울 MCM하우스에서 진행된 ‘베어브릭 인 엠씨엠 원더랜드’전시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장에는 김해리 MCM 일본 대표,  타츠히코 아카시 메디콤토이 CEO, 이사오 우에하라 인덴야 대표, 아티스트 노부키 히즈메, 켄 야시키 등이 참석했다.

김 대표는 “1년에 걸쳐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했다”라며 “MCM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세대와 소통해왔다. 이번 전시가 문화와 세대, 국경을 초월하는 대화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타츠히코 아카시 메디콤토이 CEO의 큐레이션 아래 진행된다. MCM하우스의 1층, 3층, 5층에 각 아티스트의 베어브릭이 전시됐다. MCM은 각 베어브릭에 아티스트의 작업 영상이 담긴 스크린과 음성 해설을 제공하는 QR코드를 배치해 전시 이해도를 높였다. 음성 해설은 한국어는 물론 영어, 일본어 등 외국어도 준비됐다.

가리모쿠 원목이 사용된 베어브릭 / 이현령 기자
가리모쿠 원목이 사용된 베어브릭 / 이현령 기자

1층에 입장하면 가장 먼저 밀리너리(모자 제작) 디자이너 노부키 히즈메의 베어브릭을 볼 수 있었다. 입구 바로 옆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알록달록한 베어브릭이 설치돼 눈길을 끌었다. 몇몇 베어브릭은 모자를 쓰고 있어 귀여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양 옆으로 제품이 진열된 선반에도 목공예로 제작된 베어브릭이 놓였다. 해당 베어브릭은 가리모쿠 원목을 사용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풍겼다.

3층은 켄 야시키가 2016년 발표한 작품 ‘PAUSE-Usa Usa'를 기반으로 한 베어브릭이 배치됐다. 3층에 들어서는 순간 분홍색 조명과 꽃밭, 알록달록한 조형물로 환상적인 분위기에 압도됐다. 함께 전시된 가방 등도 분홍색으로 통일돼 소녀 같은 감성을 강조했다. 켄 야시키의 시그니처 패턴이 적용된 베어브릭은 꽃밭 위 그네에 타고 있어 동화같은 장면을 연출했다. 뒷배경에도 다채로운 색상의 패턴이 있어 베어브릭이 꽃밭에서 걸어 나온 것 같았다.

켄 야시키의 베어브릭 / 이현령 기자
켄 야시키의 베어브릭 / 이현령 기자

5층에는 인덴야의 베어브릭이 준비됐다. 인덴야는 사슴 가죽 위에 옻칠을 더하는 일본의 전통 가죽 기법 ‘코슈 인덴’을 전승한 브랜드다. 이번 인덴야의 베어브릭도 해당 전통 기법을 할용해 제작됐다. 넓은 공간 가운데 나무그루터기 모양의 발판을 활용해 자연적인 요소를 강조했다. 인덴야의 가죽을 활용한 가방도 함께 배치했다.

타츠히코 아카시 메디콤토이 CEO는 이날 “베어브릭의 특정한 타겟층은 없지만 MCM을 구입한 이력이 있는 20대 이상 여성 고객의 수요가 높은 편“이라며 ”이번 콜라보로 아티스트들의 팬 등 다양한 고객에게 브랜드 인식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MCM은 오는 3일부터 30일까지 프리즈 위크 2025를 맞아 ‘베어브릭 인 엠씨엠 원더랜드’ 전시를 진행한다. 한정판 베어브릭 3종은 물론 티셔츠, 숄더백 등 한정판 굿즈 등도 공개할 예정이다.  

이현령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