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갈‧구성(언남‧청덕)‧동백‧상하동 주민들이 힘을 모아 꾸린 주민연합 환경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최근 ‘구성적환장 사업 백서’를 발간했다./ 김두일 기자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구갈‧구성(언남‧청덕)‧동백‧상하동 주민들이 힘을 모아 꾸린 주민연합 환경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최근 ‘구성적환장 사업 백서’를 발간했다. 이번 백서는 갈등과 불신 속에서 시장과 시민이 머리를 맞대며 상생의 해법을 찾아간 과정을 기록한 사례집이자, 정치적 갈등과 행정 리더십의 대비를 보여주는 기록이다.
지난해 시의회 공유재산심의를 통과한 ‘구성적환장 확충 사업’은 올해 6월 주민공람 과정에서 처음 공개됐다. 주민들은 인근 부지가 과거 사용종료매립지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고, 도시계획시설 결정이 향후 폐기물 처리시설의 근거가 될 수 있다는 불안에 휩싸였다.
그러나 정치권 일부는 초기에 주민 불안을 정치적 공세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특히 민주당 소속 시의원 일부는 주민 커뮤니티에 “환경미화원 휴게실과 청소차 차고지, 창고 등을 짓는 사업이니 걱정할 필요 없다”는 글을 올리며 초기에 갈등을 축소하려는 척했지만, 주민 반발이 거세지자 태도를 돌변해 사업 철회를 요구하며 분쟁을 정치적으로 부추기는 행태를 보였다. 주민들은 정치권의 이런 이중적 태도에 혼란과 불신을 느꼈고, 갈등은 점점 고조됐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이상일 시장은 정치적 계산보다는 시민 안전과 신뢰 회복을 최우선으로 삼았다. 시장은 담당 부서에만 맡기지 않고, 직접 대책위 대표단과의 만남을 제안했다. 두 차례에 걸친 회의에서 시장은 끝까지 주민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며 “주민의 걱정거리는 외면하지 않는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결국 두 번째 회의 자리에서 이 시장은 결정적 해법을 제시했다. “해당 부지에는 도시계획시설 결정을 하지 않겠습니다. 대신 공공업무시설로만 활용해 환경미화원 휴게실, 청소차 차고지, 종량제 봉투 창고, 주차장 등 꼭 필요한 시설만 설치하겠습니다.”
또한 신갈적환장 폐쇄 이후 플랫폼시티에서 발생할 폐기물은 구성적환장이 아니라 플랫폼시티 내부에서 처리하도록 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이는 주민들의 가장 큰 우려를 단번에 해소하는 답변이었다.
이상일 시장의 이러한 대응은 단순한 행정 조치가 아니라, ‘주민을 대화의 중심에 세운 리더십’으로 평가된다. 정치권의 초기 분쟁 조장과 대비되는 시장의 적극적 개입은, 주민들에게 “정치적 계산보다 시민 안전과 공익을 우선하는 지도자”라는 신뢰를 심어주었다.
대책위 대표들은 결국 시장의 결단을 환영했다. 한 대표는 “적환장은 무조건 없어야 할 시설이라 믿었지만, 시장의 해법을 들으며 합리적 대안이 가능하다는 걸 깨달았다”고 고백했다. 다른 대표단 시민도 “처음에는 불신으로 시청을 대했지만, 시장의 열린 태도와 문제 해결 의지를 직접 확인하면서 신뢰를 회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권자의 의견을 경청하며 해법을 찾는 시장의 모습에서 참 많은 걸 배웠다”며, “반대로 주민을 선동하며 판단을 흐리려는 특정 정치 세력의 행태도 경험하며, 그에 휘둘리지 않는 법 또한 배웠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이번 백서를 통해 이상일 시장의 지혜와 결단에 경의를 표하며 감사의 뜻을 담았다. 주민들이 스스로 편견을 깨고, 시와의 소통을 통해 합리적인 해법을 이끌어낸 과정은 지역 갈등을 풀어가는 모범적 사례로 기록됐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