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AI 모빌리티 확산 통해 교통문제 해결
NUMA 참여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앞줄 좌측부터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 사장)
NUMA 참여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앞줄 좌측부터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 사장)/ 현대차그룹

| 한스경제=곽호준 기자 | 현대차·기아가 1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에서 ‘NUMA(Next Urban Mobility Alliance, 누마)’ 출범식을 개최하고 정부·기업·학계 31개 기관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공동 비전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3월 소프트웨어 비전 행사 ‘플레오스 25(Pleos 25)’에서 누마 구축 계획을 발표한 뒤 처음으로 마련된 공식 자리다. 출범식 현장에서는 교통약자를 위한 유니버셜 디자인 차량, 나노모빌리티, 참여 기업의 AI 기반 교통 솔루션 등이 전시·시연됐다.

이날 출범식에는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과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 사장을 비롯한 다양한 정부기관과 민간기업, 연구기관이 참여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공동 비전을 공유하고 참여 주체들의 협력체계를 마련했다.

누마는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존재하는 교통 격차와 교통 약자 문제를 민관학 협업으로 해결하자는 공감대에서 출발했다. 구체적인 활동은 ▲1단계 지역 교통의 AI 전환 및 기술기반 교통문제 해결 ▲2단계 자율주행-MaaS(Mobility as a Service) 실현 ▲3단계 AI 기반 스마트시티 전환으로 단계적 추진된다.

개방형 협의체 모델을 채택해 참여사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경기도 등 정부기관과 ▲현대차·기아 ▲KT ▲네이버클라우드 ▲CJ대한통운 ▲티맵모빌리티 등 민간기업 및 서울대·연세대 등 총 31개 주체들이 참여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참여사 간 네트워킹과 과제 발굴을 지원하는 주관사 역할을 맡는다. 정부도 교통기본법 제정과 정책 전략을 통해 국민 이동권 보장을 추진한다.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 사장은 "자율주행과 AI는 일상을 새롭게 설계하는 변화의 흐름"이라며 "기술 기반의 포용적 이동권을 실현하고 글로벌 모빌리티 전환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곽호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