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이나라 기자 | 정부의 6·27 대출 규제가 시행되기전 서울의 아파트 단지 거주자 평균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액이 평균 3억원대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서초·용산구 등 규제지역의 경우 주담대 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상대적으로 높은 대출 규제에도 대출액이 서울 평균을 최대 2억원 가량 상회했다.
31일 부동산R114 리서치랩의 분석에 따르면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주택담보대출 약정액은 지난 5월 말 기준 2억955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 1월 2억8632만원에서 1000만원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는 강남구 아파트의 대출 평균이 4억8362만원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어 서초구가 4억6541만원, 용산구가 4억138만원으로 3개 구의 평균 주담대 금액이 4억원을 넘었다.
이는 강남3구와 용산구는 규제지역으로 묶여 LTV 50%(유주택 30%), DTI 40%로 제한(비규제지역은 LTV 70%, DTI 60%)되지만 상대적으로 집값이 높아 대출액도 그만큼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부동산R114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시세는 서초구가 8499만원, 강남구 8473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송파구(6207만원), 용산구(6107만원), 성동구(4998만원), 마포구(4598만원), 광진구(4556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주담대 평균이 낮은 곳은 금촌·강북구와 함께 도봉구가 1억9493만원으로 2억원을 넘지 않았다. 또 중랑구(2억1062만원), 구로구(2억1626만원), 관악구(2억1700만원) 순으로 대출이 적었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향후 부동산 시장에 대해 "6·27 대책 이후 일단 과도한 대출로 집을 사려는 수요는 막은 상태"라며 "내달 초 발표할 공급 대책과 이후 공시가격 및 보유세 변화 등에 따라 시장의 향배가 좌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나라 기자 2country@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