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한·일 지자체, 공동 포럼 개최…저출생 문제 해결 위한 정책 공유 및 협력 모색
경상북도 돗토리현 저출생 극복(국제공동포럼). 사진=경상북도 제공
경상북도 돗토리현 저출생 극복(국제공동포럼). 사진=경상북도 제공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상북도는 일본 돗토리현과 공동으로 '경상북도·돗토리현 저출생 극복 국제공동포럼'을 안동 스탠포드호텔에서 28일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저출생 극복! 함께 만드는 미래'라는 슬로건 아래, 저출생과 고령화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 및 협력을 위해 마련된 한·일 지자체 간 최초의 국제 협력의 장이다.

포럼에 앞서 돗토리현 대표단은 경북도청을 방문, 이철우 도지사와 저출산·고령화 공동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경상북도가 추진 중인 저출생 극복 정책을 소개하며, 양 지자체 간 포럼 정례화를 통해 협력 모델을 구축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은 지난해 5월 이철우 도지사와 히라이 신지 돗토리현 지사 간 정책 공조 합의에 따른 것으로, 양 지역은 저출생 극복 정책 공유 및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포럼을 개최했다. 돗토리현은 인구 53만 명의 광역 지자체로, 2010년 '육아 왕국 돗토리 선언' 이후 적극적인 육아 정책을 통해 일본 내에서도 저출생 대응 모범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포럼에는 김학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김민석 정책실장, 최병준 도의회 부의장 등과 돗토리현의 나카하라 미유키 부지사, 야마사키 시로 일본 내각관방 참여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기조 발제, 양 지역 정책 사례 발표, 패널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박진경 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사무처장은 기조 발제를 통해 한국 저출생 정책의 핵심 과제로 '성평등 관점의 노동·양육 정책 전환, 가족 다양성 인정, 성·재생산권 보장'을 제시했다. 야마사키 시로 참여는 일본 정부의 '가속화 플랜'을 소개하며 '청년 소득 증가, 아동·가정에 대한 보편적 지원, 남성 육아휴직 확대' 등 정책을 강조했다.

엄태현 경북도 저출생극복본부장은 경상북도의 '저출생과 전쟁' 정책과 '아이천국 두레마을' 조성 계획을 소개했으며, 나카니시 아케미 돗토리현 아이가정부장은 돗토리현의 생애주기별 지원책과 성과를 공유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양국 전문가들이 '육아 지원 및 환경 개선'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김학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는 "저출생 극복 정책을 선도하는 경상북도와 돗토리현이 서로의 경험과 지혜를 나누어 미래 세대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정책을 함께 만들어 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상북도와 돗토리현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협력을 정례화하고, 내년에는 돗토리현에서 후속 포럼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손철규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