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글로벌 재생에너지 연합·RE100 캠페인, 정부에 공동 서한 발송
한국의 아·태 지역 재생에너지 선도국 도약 촉구
“韓 경쟁력은 재생에너지 얼마나 신속하게 수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
글로벌 재생에너지 연합과 클라이밋 그룹의 RE100 캠페인이 한국 정부에 아시아태평양 지역 재생에너지 선도국이 될 것을 촉구하는 공동 서한을 보냈다. 사진은 (왼쪽부터) 브루스 더글러스 글로벌 재생에너지 연합 CEO, 이호현 산업부 2차관(가운데), 샘 킴민스 기후그룹 에너지 담당 이사가 부산에서 열린 '에너지 슈퍼위크'에 참석한 모습. / 사진=글로벌 재생에너지 연합
글로벌 재생에너지 연합과 클라이밋 그룹의 RE100 캠페인이 한국 정부에 아시아태평양 지역 재생에너지 선도국이 될 것을 촉구하는 공동 서한을 보냈다. 사진은 (왼쪽부터) 브루스 더글러스 글로벌 재생에너지 연합 CEO, 이호현 산업부 2차관(가운데), 샘 킴민스 기후그룹 에너지 담당 이사가 부산에서 열린 '에너지 슈퍼위크'에 참석한 모습. / 사진=글로벌 재생에너지 연합

|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 주요 글로벌 기업과 재생에너지 업계 리더들이 대한민국이 산업 발전과 에너지 안보를 지키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의 재생에너지 선도국이 될 것을 촉구했다.

글로벌 재생에너지 연합(Global Renewables Alliance)과 클라이밋 그룹(Climate Group)의 RE100 캠페인은 한국 정부 고위 관계자들에게 보낸 공동 서한에서 한국이 가진 막대한 재생에너지 잠재력과 기업들의 강력한 재생에너지 수요를 강조했다.

RE1000 회원사만 해도 매년 한국에서 600억kWh(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국가 전체 전력 사용량의 10%로,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약속한 물량이다.

이번 서한에는 기업재생에너지재단(CREF), 아시아청정에너지연합(ACEC), SEMI에너지협력체(SEMI EC), 위민비즈니스연합(WMBC), 청정에너지구매자협회(CEBA)도 동참했다.

이들은 최근 정부의 RE100 산업단지 계획과 전력망 확충 의지를 환영하면서도 ▲현대적이고 포용적인 에너지 안보 체계를 국가 정책에 반영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재생에너지 목표 확대 및 해상풍력 개발, 인허가 절차 간소화, 저장장치 확대, 전력망 현대화 추진 ▲석탄 감축 포함 명확한 부문별 재생에너지 목표 담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설정 ▲가격 체계 개선, 전력구매계약(PPA) 접근성 확대,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인증제도 도입을 통한 재생에너지 조달 개선 ▲청정에너지 각료회의와 같은 플랫폼을 통한 민관 협력 및 지역 리더십 강화 등 5가지 신속한 조치를 촉구했다.

이들은 이러한 조치가 기후 대응뿐만 아니라 에너지 안보, 양질의 일자리 창출, 경제 성장, 국내 산업 육성, 기업 기회 확대에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과감하고 일관된 전략이 한국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투자 유치를 촉진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올바른 정책 환경만 갖춰진다면 기업 수요자는 투자를 준비하고 재생에너지 공급자는 이를 제공할 준비가 돼 있어 진정한 파트너십과 성장을 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샘 킴민스(Sam Kimmins) 클라이밋 그룹 에너지 디렉터는 “한국의 주요 산업계는 정부와 함께 국가의 재생에너지 전력 미래를 본격적으로 열어나갈 준비가 돼 있다”며 “최근 발표된 재생에너지 정책은 한국에서 활동하는 180여 개 RE100 회원사들에 고무적인 소식이지만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이 아·태 지역의 에너지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야심찬 목표 설정, 전력망 투자 확대, PPA와 같은 재생에너지 조달 옵션에 대한 접근성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브루스 더글라스(Bruce Douglas) 글로벌 재생에너지 연합 CEO(최고경영자)는 “한국의 경쟁력은 재생에너지를 얼마나 신속하게 수용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글로벌 투자자와 산업계는 이미 투자 의사를 밝힌 상태다. 그들이 시급히 필요로 하는 것은 야심찬 목표, 현대화된 전력망, 간소화된 조달 절차를 통한 명확한 신호”라고 강조했다.

브루스 CEO는 그러면서 “한국이 이를 실현하면 비용 절감 효과뿐 아니라 아·태 지역의 재생에너지 선도국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신연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