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한화시스템·펀진과 융합 기술 개발 거점 마련
KAIST 기초연구·인재 양성 참여...산학 체제
전자기전 항공기 개발 로드맵 수립...기술 자립 목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27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대전 연구센터에서 네이버클라우드 김성배 이사, 펀진 김득화 총괄대표, 한양대 김선우 교수, 한화시스템 박혁 전무, 한화시스템 곽종우 부사장, KAI 차재병 부사장, KAIST 조병관 연구처장, KAI 최종원 상무, 펀진 김정훈 사장, KAIST 이정률 학과장(왼쪽부터)이 참석한 가운데 ‘AI-전자기전 특화연구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27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대전 연구센터에서 네이버클라우드 김성배 이사, 펀진 김득화 총괄대표, 한양대 김선우 교수, 한화시스템 박혁 전무, 한화시스템 곽종우 부사장, KAI 차재병 부사장, KAIST 조병관 연구처장, KAI 최종원 상무, 펀진 김정훈 사장, KAIST 이정률 학과장(왼쪽부터)이 참석한 가운데 ‘AI-전자기전 특화연구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KAI

|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AI-전자기전 특화연구센터’를 설립하고 한화시스템, 국방 인공지능(AI) 전문기업인 펀진과 미래 국방역량의 핵심이 될 전자기전 기술 고도화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연구센터 개소식은 지난 27일 KAIST 내 KAI 대전 연구센터에서 진행됐으며 이 자리에는 KAI 대표이사 차재병 부사장과 한화시스템 박혁 DE사업부장, 펀진 김득화 대표를 비롯해 KAIST 조병관 연구처장 등 산·학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AI-전자기전 특화연구센터는 초연결 네트워크 중심의 현대전에서 핵심 전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자기전 요소기술인 AI 기술의 산·학 공동 연구 기반을 마련하고 전자기전 항공무기체계 핵심기술 내재화를 목표로 문을 열었다.

기술 개발은 항공기 체계종합 기업인 KAI와 항공전자 전문기업 한화시스템, AI 강소기업인 펀진을 중심으로 KAIST 등 학계가 기초연구와 인재 양성에 참여하는 산·학 공동 연구 형태로 진행된다.

KAI는 AI-전자기전 특화연구센터 개소를 위해 지난 3월 KAIST 내 미래 항공우주기술 개발 거점인 대전 연구센터를 오픈하고 분야별 기술 개발 협력 체계 구축을 추진해 왔다. 또 한국형 전자기전 항공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AI와 빅데이터 등 미래 첨단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공중전투체계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차세대 공중전투체계의 핵심인 전자기전 항공기(Electronic Warfare Aircraft)는 국가안보와 직결된 전략자산으로 해외 기술이전이 사실상 불가하다. 따라서 국내 독자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 자립이 시급하다.

KAI는 E-737 AWACS, 백두 2차사업 등 항공기 개조개발 기술을 활용해 원거리 전자전기(SOJ·Stand Off Jammer) 개발을 추진하고 KF-21 호위형 전자전기(ESJ·Escort Jammer), 유무인복합체계 기반의 근접형 전자전기(Stand-In Jammer) 개발로 이어지는 한국형 전자기전 기술 로드맵를 수립하고 요소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확보된 요소기술은 전자전기 개발은 물론 향후 KF-21의 전자전장비(EW Suit) 성능 개량에도 적용할 예정으로 한국 공군의 항공전력 강화는 물론 수출 시장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는 한화시스템과 함께 원거리 전자전항공기 체계개발 사업 참여를 준비하고 있으며 개발 성공과 기술 자립을 위한 핵심 역량인 항공기 설계와 체계통합, 시험평가 노하우를 보유한 국내 유일한 기업으로 평가된다.

차재병 KAI 부사장은 “미래 전장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AI, 상황인식 및 자동 대응 등 인지 기반 전자기전(Cognitive Electromagnetic Warfare)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며 “AI 전자기전 특화센터를 중심으로 산·학·연이 힘을 합쳐 국내 요소기술을 확보하고 AI 전자기전 항공무기체계 기술 자립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임준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