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은 부지면적 초고밀도 설비 집중으로 정전 피해 우려
| 한스경제=이성철 기자 | 세계 최대 규모로 조성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본격 가동되기 전부터 전력 수급에 차질이 우려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발간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 리스크 진단' 보고서를 통해 "현재의 전력망과 설비만으로는 반도체 산업단지의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며 “전력 공급 및 연료 조달의 책임 문제를 계약 단계부터 명확하게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역행할 수 있고 RE100 산업단지 계획과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현재 전력 설비와 시스템으로는 초대형 전력 수요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용인 728만㎡ 부지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제조공장 6기와 100개 이상의 협력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클러스터의 필요 전력량은 16GW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최대 전력 수요(약 97GW)의 16.5%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서울·남서울 변전소 피상전력 35GVA의 60%인 21GVA가 서울 면적의 1.9%에 불과한 클러스터에 집중 공급돼야 한다는 점이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다.
보고서는 "면적당 전력 공급 밀도가 서울의 32배에 달한다"며 "이처럼 좁은 면적에 초고밀도 전력 설비가 집중되면 변전소 부지 부족, 전력망 안정성 저하 등의 상당한 문제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또한 클러스터에 재생에너지를 공급하기 어려운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미 생산공정에서 사용되는 전기 중 재생에너지 전기 비중을 100%까지 높이겠다며 RE100을 선언했다.
그러나 클러스터 내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설치할 여유 부지가 없어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현재 전력공급 계획에는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건설만 있을 뿐 재생에너지 공급계획은 미흡한 상황으로 국가적인 탄소중립 정책 기조와 상충된다.
이밖에도 클러스터 전력망 확충에 73조원 이상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규모 송전선 건설 역시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초래해 사업 지연으로 이어질 우려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정부와 지자체, 사업자 모두가 입주 계약 단계에서부터 전력 공급 및 연료조달의 책임 문제를 명확히 해야한다"며 "실제 현장에서 물리적·기술적으로 가능한지 직접 확인하고 유연하게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성공적인 클러스터 조성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성철 기자 leesc@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