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상암)=류정호 기자 | 프로축구 K리그1(1부) 울산 HD의 신태용 감독이 리그 제도에 대한 뚜렷한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지난 2012년 이후 13년 만에 K리그 사령탑으로 복귀한 그는 22세 이하(U-22) 선수 의무 출전과 외국인 선수 제한을 두고 “프로페셔널 무대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소”라고 짚었다.
울산은 24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1 27라운드에서 FC서울과 원정 경기를 치렀다. 경기 전 사전 기자회견에 나선 신태용 감독은 “U-22 규정 때문에 선발 명단을 짰다가 다시 바꿨다. 지금은 숙지했지만 사실은 아직도 헷갈린다”며 “U-22 두 명이 다 뛰면 교체가 5장, U-22가 한 명만 뛰면 교체가 4장이라는 걸 이제 배웠다. 사실 명단을 짜면서 아직도 헷갈린다”고 웃었다. 이어 “사실 이 규정이 꼭 필요한가 싶다. 프로팀이 왜 U-22 출전을 두고 머리를 싸매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K리그는 2019년부터 만 22세 이하 선수의 출전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제도를 도입했다. 현재는 22세 이하 선수를 2명 이상 출전 명단에 포함하고, 최소 1명을 선발로 내보내야 교체 카드를 5장까지 쓸 수 있다.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교체권이 줄어드는 방식이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유망주 육성이라는 취지를 내세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경기 운영의 자율성을 과도하게 침해한다”는 불만이 끊이지 않는다. 일부 감독들은 교체 카드를 온전히 활용하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어린 선수를 선발에 배치해야 하는 상황을 호소한다.
신태용 감독은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 규정에도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K리그1은 구단당 외국인 선수를 6명 보유할 수 있지만, 경기 출전은 4명으로 제한한다. 신태용 감독은 “중동은 11명 전원이 외국인일 수도 있고, 일본 J리그도 보유 인원은 무제한이다. 그런데 우리는 4명밖에 못 뛰게 한다.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 무대에 나서는 팀들은 상당히 불리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ACLE 규정에 맞게 규정을 풀어줘야 K리그가 아시아 클럽 축구 랭킹에서 더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힘주었다. 현재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는 10명 보유에 8명이 출전할 수 있다. 일본 J1리그는 보유 인원 무제한, 출전 인원만 5명으로 제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실제 성적도 제도의 한계를 반영한다는 지적이 많다. 울산과 포항 스틸러스는 지난 시즌 ACLE 리그 스테이지를 통과하지 못했다. K리그1 팀 중 유일하게 광주FC만이 16강에 올랐다. 반면 일본 J리그는 8강에 2팀이 진출했다.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는 우승 팀(알 힐랄)을 배출했다.
류정호 기자 ryutility@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