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공공건축물 최소 50% 이상 목재-천연재료 사용 '지속가능성법' 시행
파리올림픽 '친환경 의제'...95% 기존 시설에 선수촌 등 목재로 건설
프랑스 하이페리온 타워. 프랑스 보르도시에 위치한 ;하이페리온 타워‘는 프랑스 최초의 목조 주거용 타워로, 16층 높이의 복합 건물이다. 사진 출처 : hyperion-intro©Jean-Paul-Viguier-Associes
프랑스 하이페리온 타워. 프랑스 보르도시에 위치한 ;하이페리온 타워‘는 프랑스 최초의 목조 주거용 타워로, 16층 높이의 복합 건물이다. 사진 출처 : hyperion-intro©Jean-Paul-Viguier-Associes

| 한스경제=주진 기자 | 프랑스는 1974년 건물 열적성능 규정을 개발해 시행했으나, 여전히 전체 주거 건축물 중 55% 이상이 이 기준을 적용받지 않은 노후 건축물이다. 지난 해 유럽 건물성능협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프랑스에서는 건물이 에너지 소비의 43%, 온실가스 배출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프랑스 정부는 2015년 녹색성장법을 통해 건물부문의 에너지 전환 목표를 수립, 2050년까지 2012년 기준 1차 에너지 소비량을 50%까지 감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매년 50만동의 노후 주거시설을 대상으로 그린리모델링을 시행하고 있다. 
 
프랑스는 일정 수준 이하의 효율이 낮은 건축물에 대해 그린리모델링을 의무화했다. 구체적으로 1차 에너지 소비량 기준 330kWh/㎡K 이상의 노후 주거건물과 노후건축물의 에너지 성능평가 기준인 EPC(Energy Performance Certificates) 기준 F or G등급은 2025년까지 의무적으로 그린리모델링 되어야 한다. 또 EPC는 주거‧비주거 모두를 평가대상으로 2011년부터 시행중인데, 건물에너지 라벨링 제도를 통해 건물 판매 및 임대 시 EPC를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한다. 
 
또 2009년부터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이라는 계획을 세우고, 공공건축물 경우 최소 50% 이상 목재 또는 천연재료를 사용해야 한다는 ‘지속가능성법’을 시행했다.  프랑스는 환경법과 RE2020(환경규제 2020) 등의 법령을 통해 건축 시 목재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2024년 친환경 파리올림픽 선수촌 숙소 건물. 사진=연합뉴스
2024년 친환경 파리올림픽 선수촌 숙소 건물. 사진=연합뉴스

대표적으로 지난 해 파리올림픽은 IOC의 ‘친환경 의제(GREENER AGENDA)’에 따른 첫 대회로 ‘France Bois 2024(프랑스 숲 2024)’ 프로젝트에 자국 목재 50%이상 사용을 목표로 명시했다. 이에 경기장 중 95%는 기존 시설, 임시 시설을 활용하고, 선수촌과 수영장 등만 지속가능한 목재로 신규 건설해 탄소중립을 실천했다.

8층짜리 선수촌 숙소 건물의 경우 목재와 저탄소 철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시스템을 적용해 8층 이하는 나무와 유리로만 시공, 8층 이상부터 철골로 지지했다. 올림픽이 끝난 후에는 사회복지 주택(6000채)으로 활용됐다.  

프랑스 정부는 또 민간의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보조금 지급, 세재혜택 및 정책홍보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에서는 2005년부터 에너지 효율화 자재‧장비 구입 시 세제 혜택을 주고 있다. ‘ECO-PTZ’를 통해 2009년 이후로 노후 주거의 단열‧난방‧신재생 등 에너지 효율화 공사시 제로 금리 대출을 시행하고, 그 규모는 10년 내 상환 조건으로 가구당 30000 유로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또 민간 노후 건축물 소유자에게 에너지 진단, 그린리모델링 수행방법 등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운영해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