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中 AI 혁신거점 항저우 저장大 학생과 '소통의 장'
글로벌 기술동향 공유·교류협력 성장 발판 마련
광주광역시는 20일 광주차이나센터에서 ‘광주 인공지능(AI)  한·중 청년포럼’을 개최하고 기념촬영 했다./사진=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는 20일 광주차이나센터에서 ‘광주 인공지능(AI) 한·중 청년포럼’을 개최하고 기념촬영 했다./사진=광주광역시

| 한스경제=신홍관 기자 | 광주광역시가 20일 광주차이나센터에서 ‘광주 인공지능(AI)  한·중 청년포럼’을 가졌다.

이번 포럼은 중국 인공지능(AI) 혁신의 중심지인 항저우 저장대학교 인공지능(AI) 전공자들을 초청, 지역 청년인재들과 함께 ‘AI로 연결된 광주와 중국, 청년의 상상력이 만드는 미래’를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소통의 장이 됐다. 

세계 양대 인공지능(AI) 강국인 중국, 그 중에서도 인공지능(AI)·첨단기술 스타트업의 중심지로 떠오른 항저우는 ‘중국의 실리콘밸리’라 일컫는 곳으로, 딥시크(DeepSeek), 유니트리(Unitree), 딥로보틱스(DeepRobotics) 등 이른바 ‘항저우 육소룡(六小龙)’ 기업을 비롯해 다수의 혁신기업을 배출한 도시이다.

특히 저장대학교는 항저우 인공지능(AI) 인재육성을 이끄는 명문대로 ‘딥시크’의 창업자인 량원평의 모교이기도 하다.

광주시는 인공지능(AI)사관학교, 전남대·조선대·호남대 인공지능(AI)융합대학, 광주과학기술원(GIST) 인공지능대학원 등을 중심으로 인공지능(AI) 인재양성 사다리를 구축하고, 국가AI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기업 유치 등 대한민국 인공지능(AI)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광주시는 또 인공지능 기술을 실증하고 상용화를 위해 인공지능(AI) 2단계 사업인 6000억원 규모의 ‘AX 실증밸리 조성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가 AI 시범도시 조성을 위해 국가 인공지능(AI)집적단지와 인공지능(AI)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추진하고, 국가인공지능(AI)컴퓨팅센터 유치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이번 포럼에는 저장대학교 컴퓨터과학기술대학 양이(Yang Yi) 교수를 비롯해 박사과정 1명, 석사과정 4명, 학부생 1명 등 중국 측 대표단 7명이 참가했다. 광주에서는 전남대, 조선대, 호남대,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인공지능(AI) 관련 학과 대학생, 기업인 등 30여명이 함께해 양국 청년 간 인공지능(AI) 기술 교류가 이뤄졌다. 

양국 대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청년의 시선으로 본 인공지능(AI) ▲우리가 상상하는 인공지능(AI) 미래 등 2개의 세션으로 진행됐다. 

신홍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