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10대 석화기업, NCC(나프타분해시설) 최대 370만톤 감축
구조개편 3대 방향 설정, 기업별 맞춤형 지원
울산 석유화학단지 전경/울산광역시 제공
울산 석유화학단지 전경/울산광역시 제공

| 한스경제=이성철 기자 | 공급과잉과 경쟁력 약화로 위기를 겪고 있는 석유화학 업계가 대규모 구조개편에 본격 나선다.

10개 석유화학 기업은 나프타분해시설(NCC) 270~370만톤을 줄이고 고부가·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 사업재편 계획을 연말까지 마련키로 했다.

이에 정부는 '선(先) 자구노력-후(後) 정부지원' 원칙을 내세워 금융·세제·연구개발(R&D) 등을 아우르는 기업별 맞춤형 지원 패키지를 제공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열린 '석유화학 산업 재도약을 위한 산업계 사업재편 자율협약식'에서 업계의 사업재편 의지를 확인하고 정부의 산업 구조개편 방향을 밝혔다.

정부는 △과잉 설비 감축 및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으로의 전환 △재무 건전성 확보 △지역경제·고용 영향 최소화 등 '구조개편 3대 방향'을 밝혔다.

이같은 전제 하에 △3개 석유화학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구조개편 동시 추진 △충분한 자구노력 및 타당성 있는 사업재편계획 마련 △정부의 종합지원 패키지 마련 등의 '정부지원 3대 원칙'도 확정했다.

정부의 구조개편 방안에 석유화학 업계는 산업계 자율컨설팅 결과를 반영해 △270만~370만톤 규모의 나프타분해시설(NCC) 감축 △고부가·친환경 제품으로의 전환 △지역경제 및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를 목표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들은 설비 감축과 고부가 전환을 통한 경쟁력 강화, 재무구조 개선 등을 포함하는 사업재편계획을 올 연말까지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정부는 업계의 사업재편계획에 대한 타당성과 기업들의 자구노력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필요한 금융 및 세제, 연구·개발(R&D), 규제완화 등 지원패키지를 마련해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지원패키지는 일률적인 대책이 아닌 기업의 상황에 따른 '맞춤형'으로 설계될 전망이다. 

지역경제와 고용 충격 완화도 병행된다. 산업부는 지난 5월 여수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서산시 추가 지정도 검토중이다. 

고용노동부도 '고용위기선제대응지역' 제도를 신설해 여수시를 지정했으며 고용유지지원금과 생활안정자금 융자 등 지원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산업계가 한마음으로 진정성있게 노력한다면 정부도 그에 상응해 뒷받침하는 '선(先) 자구노력 - 후(後) 정부지원'의 원칙으로 임하겠다"며 "책임있는 자구노력 없이 정부 지원으로 연명하려 하거나 다른 기업들 설비 감축의 혜택만을 누리려는 무임승차 기업에는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성철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