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류정호 기자 |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노동조합이 협회 측의 보복성 해고에 강하게 반발하며 “부당하게 해고된 직원들이 복직할 때까지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19일 서울 서대문구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해고 통보를 받은 직원 3명이 직접 해고 사유와 실제 경위를 설명했다고 전했다.
노조에 따르면 이들 3명은 지난달 말 직장 내 괴롭힘 의혹으로 해고된 전직 고위 임원 A씨의 가혹 행위를 증언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협회가 이 같은 증언을 한 직원들에게 보복성 징계를 내렸다는 주장이다.
해고된 직원 L씨는 임원 A씨와 친분이 있던 후원사 대표 B씨가 피해 직원들에게 합의를 제안했다가 무산되자 “경기 중 노출되는 자사 방송 광고 누락을 문제 삼겠다”며 사실상 협박을 가했다고 말했다. 이후 B씨가 실제로 자사 방송 광고 누락을 문제 삼는 공문을 협회에 보냈고, 협회는 이를 근거로 중간 관리자였던 L씨를 해고했다. 노조는 "이는 외부 인사의 압력을 그대로 수용해 피해 직원을 희생양 삼은 전형적인 보복"이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해고자 N씨는 징계 사유가 된 행위가 2023년 1월 발생한 일로 ‘2년이 지나면 징계 의결 요구를 할 수 없다’는 협회 규정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J씨 역시 협회장 해외 출장 비용 집행 지연을 해고 사유로 통보받았지만 “회장이 결정을 내리지 않아 집행이 늦어진 것”이라고 반박했다.
노조는 “지난해 주 52시간제 위반으로 발생한 미지급 임금이 6000만~7000만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회장은 3주간 해외 출장에 6000만원 넘는 비용을 썼다”며 “이번 사태는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니라 회장의 경영상 과실을 가리기 위한 책임 전가”라고 주장했다.
이어 “직원들을 희생양 삼는 행태와 언론 탄압을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 누명을 씌워 해고된 직원들이 복직할 때까지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일부 해고자들은 생계 기반을 잃고 가정까지 위협받는 상황에 내몰렸다고도 덧붙였다.
한편 KPGA는 지난달 입장문을 통해 “이번 해고는 A씨 사건과 무관하며 정당한 절차에 따른 조치”라는 입장을 내놨다.
류정호 기자 ryutility@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