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관세 대응 및 경쟁력 강화 논의, K-스틸법 제정 촉구
| 한스경제=이상은 기자 | 대한민국 철강 산업의 위기 극복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와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포항에서 릴레이 현장 간담회가 개최되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14일, 윤인대 기획재정부 차관보와 오승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은 포항을 방문,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데모플랜트 부지와 제2제강공장을 시찰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 자리에는 포스코를 비롯한 주요 철강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포항시는 1973년 첫 쇳물 생산 이후 대한민국 산업화의 주역이었던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 내 하이렉스 홍보관과 데모플랜트 부지를 시찰하고, 기술 설명을 통해 수소환원제철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했다. 또한, 제2제강공장의 스마트 제조공정을 둘러보며 운영 현황을 점검했다.
포항시청에서 개최된 간담회에는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를 비롯해 경상북도, 유관기관,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세아제강 등 철강기업 6개사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철강 산업의 당면 과제와 미래 비전을 공유했다.
간담회는 철강 통상대응 추진 현황, 포항 철강산업 위기 극복 방안, 기업 애로사항 청취 순으로 진행되었다. 참석자들은 국제 통상환경 악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내수 경기 침체 등 복합적인 위기 상황 속에서 정부, 지자체,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철강 부문 통상 대응과 국내 시장 보호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포항시는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촉구하고, 철강업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사업의 조기 추진을 건의했다. 더불어,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K-스틸법)의 조속한 제정을 요청했다.
윤인대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기업이 진정한 성장의 중심"이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토대로 경쟁력 강화 대책을 마련하고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오승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은 "철강산업 위기는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 사안"이라며, "기업 의견을 반영해 실질적인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철강산업 위기 대응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정부 차원에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과 철강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한 지원이 적극 논의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포항시는 지난 7월 1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으며, 이달 5일 현지 실사를 마쳤다. 지정 여부는 오는 9월 중 최종 확정될 예정이며, 지정 시 2년간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이차보전, 컨설팅, 고용안정 지원 등 다양한 정부 지원이 집중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이상은 기자 si4066852@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