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소공인복합지원센터 확대·구축 사업’ 공모 선정…첨단 장비·맞춤형 교육 등 지원
성남시(시장 신상진)가 경기도 주관 ‘2025년 소공인복합지원센터 확대·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성남시 제공
성남시(시장 신상진)가 경기도 주관 ‘2025년 소공인복합지원센터 확대·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성남시 제공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성남시(시장 신상진)가 경기도 주관 ‘2025년 소공인복합지원센터 확대·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이에 성남시는 성남식품연구개발지원센터를 거점으로 첨단 방사선(X-ray)이물 검출기와 적외선 분광기(FT-IR) 등 최첨단 장비를 도입해 식품 소공인을 위한 품질관리 지원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성남식품연구개발지원센터는 2021년 중원구 상대원동에 설립되어 식품 제조 분야 소공인의 제품 개발과 품질 평가를 돕고 있으며, 현재 80종의 시험·분석 장비를 보유해 다양한 연구개발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총 2억6200만원(도비·시비 각 1억3100만원)을 투입해 장비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이와 함께 소공인을 대상으로 이물 관리 및 품질 개선 교육을 실시하고, 장비 활용법을 담은 온라인 콘텐츠 제작을 통해 현장 밀착형 맞춤 품질관리 체계도 구축한다./ 성남시 제공
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총 2억6200만원(도비·시비 각 1억3100만원)을 투입해 장비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이와 함께 소공인을 대상으로 이물 관리 및 품질 개선 교육을 실시하고, 장비 활용법을 담은 온라인 콘텐츠 제작을 통해 현장 밀착형 맞춤 품질관리 체계도 구축한다./ 성남시 제공

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총 2억6200만원(도비·시비 각 1억3100만원)을 투입해 장비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이와 함께 소공인을 대상으로 이물 관리 및 품질 개선 교육을 실시하고, 장비 활용법을 담은 온라인 콘텐츠 제작을 통해 현장 밀착형 맞춤 품질관리 체계도 구축한다.

이번 사업으로 성남시 식품 분석 서비스는 미생물 및 이화학 분석을 넘어 물리적·화학적 이물질 검출까지 영역을 넓혀 소비자 클레임 예방과 제품 신뢰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상대원동 일대에는 약 300여 개의 식품 제조 소공인이 밀집해 있어, 이번 지원책은 소공인 제품 품질 향상, 브랜드 경쟁력 강화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성남시 관계자는 “첨단 장비 도입부터 교육, 현장 적용까지 연계한 원스톱 지원 체계를 통해 식품 소공인의 경쟁력과 자생력을 높이겠다”며,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한 맞춤형 지원 확대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문의는 성남식품연구개발지원센터로 하면 된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