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민병덕 국회의원·웹3기업협회 공동 주최… “웹3, 디지털경제 핵심 인프라”
지난 4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과 웹3기업협회 공동 주최로 ‘WEB3 KOREA 2025’가 열렸다./ 웹3기업협회 제공
지난 4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과 웹3기업협회 공동 주최로 ‘WEB3 KOREA 2025’가 열렸다./ 웹3기업협회 제공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지난 4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과 웹3기업협회 공동 주최로 ‘WEB3 KOREA 2025’가 열렸다. 이번 행사는 웹3 생태계 확산 및 디지털 자산 관련 제도 기반 마련을 목표로 진행됐다.

행사에는 산업계, 학계, 금융권, 지방정부, 글로벌 관계자 등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개회사와 환영사, 축사, 전문가 발제 및 패널 토론으로 약 3시간 동안 진행됐다.

민병덕 의원은 환영사에서 “Web3와 디지털 자산은 디지털 경제를 이끌 새로운 인프라이자, 산업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동력”이라며 “디지털자산기본법과 STO, 현물 ETF 관련 입법을 통해 제도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웹3기업협회 제공
민병덕 의원은 환영사에서 “Web3와 디지털 자산은 디지털 경제를 이끌 새로운 인프라이자, 산업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동력”이라며 “디지털자산기본법과 STO, 현물 ETF 관련 입법을 통해 제도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웹3기업협회 제공

민병덕 의원은 환영사에서 “Web3와 디지털 자산은 디지털 경제를 이끌 새로운 인프라이자, 산업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동력”이라며 “디지털자산기본법과 STO, 현물 ETF 관련 입법을 통해 제도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세계 경제는 디지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입법과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웹3기업협회 김수룡 회장은 개회사에서 “웹3는 사용자 주권, 개방성, 투명성을 핵심 가치로 하는 신뢰 기반 디지털 생태계”라며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웹3 산업 선도국가로 도약할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웹3기업협회 제공
웹3기업협회 김수룡 회장은 개회사에서 “웹3는 사용자 주권, 개방성, 투명성을 핵심 가치로 하는 신뢰 기반 디지털 생태계”라며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웹3 산업 선도국가로 도약할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웹3기업협회 제공

웹3기업협회 김수룡 회장은 개회사에서 “웹3는 사용자 주권, 개방성, 투명성을 핵심 가치로 하는 신뢰 기반 디지털 생태계”라며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웹3 산업 선도국가로 도약할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협회는 올해 안에 ‘디지털 자산 산업 백서’를 발간하고,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할 계획이며, 정책당국과의 정례적 협의체 구성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세미나에서는 ▲Henry Kim(PeerTerra 회장)의 ‘국내 Web3 산업의 현황과 비전’ ▲송민택 POSTECH 연구위원의 ‘블록체인 기술의 사회경제적 가치’ ▲김선미 동국대 교수의 ‘디지털 자산 규제 환경과 투자 활성화’ 등 발제가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NH농협금융지주 이재호 전략기획부사장, 서울시 노인평생교육원 류수노 원장, 국제e스포츠진흥원 전옥기 이사장, 빗썸·업비트·두나무 대표자 등이 서면 및 현장 축사를 통해 웹3 산업에 대한 기대와 협력 의지를 표명했다./ 웹3기업협회 제공
이날 행사에는 NH농협금융지주 이재호 전략기획부사장, 서울시 노인평생교육원 류수노 원장, 국제e스포츠진흥원 전옥기 이사장, 빗썸·업비트·두나무 대표자 등이 서면 및 현장 축사를 통해 웹3 산업에 대한 기대와 협력 의지를 표명했다./ 웹3기업협회 제공

김선미 교수는 “기술은 선진국 수준이나 규제는 후진적”이라며 “국제 정합성을 갖춘 규제 정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송민택 연구위원은 “Web3의 핵심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화된 신뢰 시스템 구현”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NH농협금융지주 이재호 전략기획부사장, 서울시 노인평생교육원 류수노 원장, 국제e스포츠진흥원 전옥기 이사장, 빗썸·업비트·두나무 대표자 등이 서면 및 현장 축사를 통해 웹3 산업에 대한 기대와 협력 의지를 표명했다.

또한 중국 일대일로 관계자와 글로벌 자산운용기관 인사들도 참석해 한국 웹3 산업의 현황을 공유하고 관심을 표명했다.

협회 김수룡 회장은 인터뷰에서 “RE100 실현을 위한 투명한 탄소배출권 플랫폼과 Web3 기반 결제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좌로부터 MK글로리아 장민기 회장, 웹3기업협회 김수룡 회장./ 웹3기업협회 제공
협회 김수룡 회장은 인터뷰에서 “RE100 실현을 위한 투명한 탄소배출권 플랫폼과 Web3 기반 결제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좌로부터 MK글로리아 장민기 회장, 웹3기업협회 김수룡 회장./ 웹3기업협회 제공

참석자들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실물연계자산(RWA) 기반 코인, 분산원장 기반 탄소배출권 플랫폼 구축 등이 협회의 주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협회 김수룡 회장은 인터뷰에서 “RE100 실현을 위한 투명한 탄소배출권 플랫폼과 Web3 기반 결제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WEB3 KOREA 2025는 웹3 기술의 제도화 및 산업화를 위한 논의의 장으로, 국회와 산업계가 함께 구체적 실행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미를 가졌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