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과거 코로나 관련 재난지원금보다 속도감 있게 진행
“사업방식 복잡·짧은 준비기간에도 큰 혼란 없이 순항”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후 첫 주말인 지난달 27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종합시장 한 가게에 쿠폰 사용이 가능하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연합뉴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후 첫 주말인 지난달 27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종합시장 한 가게에 쿠폰 사용이 가능하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연합뉴스

|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 지난달 21일부터 신청·지급이 시작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전 국민의 90%가 신청했고 이들에게 지급된 소비쿠폰은 8조2000억원을 넘어섰다.

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21일 신청·지급이 시작된 소비쿠폰은 사업 개시 11일째인 같은 달 31일 오전 11시 기준 전 국민의 90%인 약 4555만명이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에게 지급된 소비쿠폰은 8조2371억원 규모다. 과거 재난지원금 지원 때보다 속도감 있게 전개됐다는 분석이다.

2020년 코로나 사태 당시 추진된 긴급재난지원금과 이듬해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당시 신청률이 90%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각각 12일이다. 소비쿠폰 신청이 과거 2차례 재난지원금 지원 때보다 신속하게 진행된 것이다.

소비쿠폰 지급 준비기간은 오히려 과거 재난지원금 지원 때보다 짧아졌다.

2020년 긴급 재난지원금 지원 당시 그해 3월 30일 정부 비상경제회의에서 지급계획이 발표된 뒤 4월 30일 추가경정(추경)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했고 5월 11일 지원금 신청이 개시됐다. 지급계획 발표에서 실지급까지 43일이 걸린 셈이다.

2021년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때는 7월 1일 지급계획 발표가 있고 나서 같은 달 24일 추경안 통과, 9월 6일 신청·지급이 시작됐다. 발표에서 지급까지 67일이 소요됐다.

소비쿠폰의 경우 6월 19일 국무회의에서 추경안이 의결된 뒤 지난달 4일 국회에서 추경안이 통과됐고 이튿날인 5일 세부 지급계획이 발표됐다. 이후 불과 16일 만인 7월 21일 신청·지급이 시작됐다.

과거 2차례 재난지원금 당시와 비교해 준비기간이 최대 4분의 1까지 짧아진 것이다.

전 국민에게 최소 15만원에서 최대 55만원이 지급되는 소비쿠폰은 과거 재난지원금 때보다는 지급 방식이 다소 까다로워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 사태 당시 제공된 재난지원금은 가구·개인별로 1차례 지급됐으나 소비쿠폰은 1·2차로 나눠 2차례 제공된다.

1차에는 전 국민에게 15만원을 제공하며 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에는 30만원,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는 이보다 10만원 많은 40만원을 지급한다.

여기에 과거 재난지원금 지원 때는 없었던 '지방 인센티브'가 추가됐다. 비수도권 주민에게는 3만원이,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에는 5만원이 각각 추가 지급됐다.

2차에는 상위 소득 10%를 제외한 전 국민의 90%에 10만원이 추가로 지원된다.

행안부는 사업방식이 복잡하고 준비기간이 짧았음에도 신청 첫날 행안부 홈페이지 접속과 콜센터 연결이 지연된 것을 제외하면 신청·지급 과정에서 큰 혼란이 없었다고 자평했다.

다만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소비쿠폰을 선불카드에 담아 지급하면서 색상을 구분해 차별 논란을 낳은 점은 인권 배력 차원에서 아쉬웠다는 비판을 낳았다.

한편 소비쿠폰 지급 자체가 높은 관심을 받는 사안인 데다 지급을 위한 준비기간이 부족하면서 일선 업무 현장에서는 과로와 부담이 컸던 것으로 전해졌다.

임준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