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전년 미국산 에너지 수입액(232억달러) 대비 18억달러 증가
대통령실 "수입선 조정에 따라 추가 부담은 없을 것"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협상 제외, 국익 보전 긍정적 평가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한 LNG 운반선/HD현대중공업 제공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한 LNG 운반선/HD현대중공업 제공

| 한스경제=이성철 기자 | 한국이 미국의 관세 인하를 위해 향후 4년 동안 1000억 달러(약 139조원)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를 수입키로 결정한데 대해 국내 에너지 산업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31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과 관세 협상 과정에서 4년 동안 미국산 에너지를 총 1000억달러 규모로 수입하기로 합의했다.

연간 평균 250억달러 규모로 지난해 미국산 에너지 수입액(232억달러)과 비교하면 연간 약 18억달러 증가한 수준이다.

품목별로는 지난해 원유 142억4880만달러, LNG 30억9213만달러, LPG 44억5802달러 규모로 수입했는데 향후 LNG를 중심으로 전 품목에서 수입량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한국의 LNG 수입 국가 비중은 호주(25%), 카타르(19%), 미국(12%) 순으로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여력은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정부도 이번 에너지 수입 결정이 한국 경제에 부담이 되지 않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1000억달러는 우리가 충분히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번 딜 때문에 추가로 없는 수요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며 "중동산을 미국산으로 바꾸는 정도의 구성 변화는 있지만 우리 경제 규모에서 필요로 하는 에너지 수입액이기 때문에 구매가 무리는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국산 에너지의 수송비와 운송 시간 등을 고려하면 일부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미국산은 수입 과정에서 아프리카 남단 희망봉을 우회해야 하기 때문에 중동산에 비해 수송비가 높고 운송 기간도 길다.

따라서 향후 가격 협상이 가장 중요한 숙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협상에서 무엇보다 그간 미국이 일본과 대만 등 동북아 지역 액화천연가스(LNG) 수요국을 상대로 강하게 요구해 온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가 포함되지 않은 것은 매우 긍정적이다.

그러나 해당 프로젝트의 사업성에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언제까지 논의에서 벗어나 있을 지는 불투명하다. 

앞서 일본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미국과 조인트벤처(JC)를 만들어 공동 투자 형태로 참여키로 결정했다.

이 프로젝트는 1300㎞에 달하는 가스관을 신설해야 하는 대규모 사업으로 본격적인 생산은 2030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프로젝트를 초기부터 주도했던 미국의 에너지 기업 엑손모빌 조차 경제성이 낮다는 판단에 따라 사업에서 철수했고  게다가 일본과 대만이 참여한 것처럼 다국적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실질적인 수익 구조를 가늠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번 협상에서  알래스카 프로젝트가 제외된 것은 다행스럽지만 향후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약속 이행 과정에서 프로젝트 참여 압박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국내 기후단체 기후솔루션은 논평을 통해 "미국발 LNG로의 수입처 재조정에 따라 정부는 국내외 신규 LNG 인프라 투자 사업들에 관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미국발 LNG 수입 압력에 따른 정부 대응은 새 정부의 탈탄소 기조에 정면으로 충돌되는 만큼 재생에너지 산업 확대로 나아가지 못할 시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성철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