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임병택 시장, “15년 고통받은 주민 위해 보상·이주대책 조속 수립 촉구”
임병택 시흥시장이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내 주민들의 보상과 이주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직접 압박하고 나섰다./ 시흥시 제공
임병택 시흥시장이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내 주민들의 보상과 이주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직접 압박하고 나섰다./ 시흥시 제공

| 한스경제(시흥)=김두일 기자 | 임병택 시흥시장이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내 주민들의 보상과 이주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직접 압박하고 나섰다. 임 시장은 30일 LH 광명시흥사업본부를 방문해 “주민 고통을 더 이상 외면해선 안 된다”며, 공식 건의서를 전달하고 조속한 보상 실시 및 이주대책 수립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25일, 시흥시 관할 내 6개 주민 대책위원회와의 면담 후속 조치로 이뤄진 것이다. 임 시장은 이날 최용택 LH 광명시흥사업본부장을 만나 주민 요구사항을 정리한 건의서를 직접 전달하며, 실질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요구했다.

건의서에는 ▲ 보상계획 공고 시점을 당초 2025년 9월 말에서 8월 말로 한 달 앞당길 것, ▲ 보상 개시 시점을 2026년 하반기에서 2026년 6월로 조정할 것,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토지보상법)’ 개정으로 인한 간접보상 제한에 대한 면밀한 재검토 요청, ▲ 공장 및 제조업소 이전을 위한 산업단지 추가 조성 필요성 제기 등과 같은 주요 내용이 담겼다.

임 시장은 “2010년 지구 지정 이후 무려 15년간 재산권 행사에 묶여 온 주민들의 현실을 외면해선 안 된다”며 “지금이야말로 LH가 책임 있는 자세로 주민과의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보상 일정이 한 달만 앞당겨져도 주민 입장에서는 생계와 삶의 계획을 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며 “행정의 속도와 의지가 절박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는 수도권 최대 규모의 공공주택사업으로, 개발 예정면적만 약 1,271만㎡(384만 평)에 달한다. 그러나 지구 지정 이후 오랜 기간 개발이 지연되며 해당 지역 주민들은 보상 불확실성과 이주 불안에 시달려왔다.

이번 시흥시의 공식 건의는 단순한 민원 청취를 넘어, 시가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행정기관 간 협의를 통해 본격적으로 공론화한 첫 조치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임 시장은 “주민 삶의 터전을 정비하는 일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사람의 인생을 재설계하는 일”이라며 “LH는 주민의 시간과 인내를 소모시키는 방식이 아닌, 적극적 협의와 실행력 있는 조치로 응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 관계자에 따르면, 향후 LH의 공식 답변과 조치 결과에 따라 시흥시는 추가 면담이나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의 협의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