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전시현 기자 | 핀테크 기업 한패스가 스테이블코인과 생성형 AI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해외송금·정산 시스템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국회에서 스테이블코인 법제화가 추진 중인 가운데 민간 기업이 실사용 중심의 시스템 구축에 나선 것은 처음이다.
한패스는 29일 스테이블코인 기반 해외송금·정산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공식화했다. 핵심은 고객이 해외송금을 요청할 경우, 한패스가 스테이블코인을 실시간으로 해외 파트너사에 전송하고 해당 국가에서는 이를 현지 통화로 즉시 환전·지급하는 구조다. 송금에서 정산까지 모든 절차가 분단위로 압축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기존 해외송금의 구조적 한계를 정면으로 겨눈다. 현재 주로 쓰이는 프리펀딩 방식은 해외 파트너사(MTO)에 사전에 자금을 예치해놓고 고객이 요청할 때마다 해당 자금으로 송금하는 구조다.
이 방식은 자금 유동성의 제약, 정산 지연, 운용 효율성 저하 등 복합적인 한계를 지닌다. 한패스는 이를 스테이블코인 기반 실시간 정산 구조로 대체해 운영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내부에는 프로젝트 전담 태스크포스(TF)도 꾸렸다. 금융IT 박사급 인력, 블록체인 엔지니어, 글로벌 가상자산거래소 출신 규제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이 조직은 ▲ 스테이블코인 적용 구조 ▲ 스마트컨트랙트 연계 방안 ▲ 소비자 보호 및 리스크 관리 체계 ▲ 국내외 규제 정합성 등을 집중 검토 중이다. 컴플라이언스 조직과의 협업을 강화해 제도 변화에 실시간 대응 가능한 기술 인프라를 설계한다는 방침이다.
AI 기술 접목도 핵심이다. 한패스는 이번 프로젝트와 병행해 생성형 AI 기반 '자동 정산 시스템(Intelligent Reconciliation System)'도 구축한다. 정산 데이터의 자동 매칭, 미정산 항목 분류, 이상 거래 탐지, 정산 리포트 작성까지 전 과정을 AI로 고도화한다. 기업의 전산원장과 은행 거래내역 간 데이터를 정형화된 알고리즘으로 일치시키고 이후 생성형 AI가 비정형 데이터까지 분석해 정산 담당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구현할 예정이다.
김정수 한패스 경영기획담당 이사는 “이번 프로젝트는 국회의 디지털자산 2단계 입법을 선제적으로 반영하는 민간의 실전 대응이자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결제망과의 연계를 염두에 둔 확장형 인프라 구축의 시발점”이라며 “기술·제도·신뢰의 균형을 갖춘 지속가능한 핀테크 모델로 도약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전시현 기자 jsh418@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