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담배제품사용 증가 추세
청소년건강행태 영향 환경개선 필요
|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 흡연을 하는 여고생의 담배 선호도에서 액상형 전자담배가 궐련을 처음으로 추월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증가에 대한 경각심 제고와 올바른 규범을 형성하기 위한 다차원적(가정, 학교, 지역사회)이고, 청소년 눈높이에 맞는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질병청)은 지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실시한 ‘청소년건강패널조사’ 1~6차(초6~고2) 통계를 29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고등학교 1학년 학생(2023년) 담배제품별 현재사용률의 경우, 궐련은 남학생 2.12%, 여학생 1.19%, 액상형 전자담배는 남학생 1.19%, 여학생 0.94%, 궐련형 전자담배는 남학생 0.65%, 여학생 0.24%였다.
고등학교 2학년으로 진학한 이후 궐련은 남학생 5.5%, 여학생 1.33%, 액상형 전자담배는 남학생 3.57%, 여학생 1.54%, 궐련형 전자담배는 남학생 1.67%, 여학생 0.32%로 학년이 올라가면서 남· 녀 학생 모두에서 모든 담배제품의 사용률 증가를 보였다.
특히 남학생에서는 여전히 궐련이 담배제품 선호도 1순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여학생의 경우 궐련에서 액상형 전자담배로 담배제품 선호도 순위가 바뀌는 조사결과를 보였다.
이는 미국 고등학생 1순위 담배제품이 지난 2014년부터 궐련에서 액상형 전자담배로 변경됐던 조사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국내 남학생의 경우에도 액상형 전자담배제품 선호도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행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은 전반적으로 악화했다. 부모와 매일 식사하는 빈도는 초등학교 6학년 66.3%에서 고등학교 2학년 22.2%로 감소하고, 건강습관 관련 대화를 자주 한다는 비율도 초등학교 6학년 58.4%에서 고등학교 2학년 37.7%로 감소했다.
학교 요인으로 최근 12개월이내 학교에서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을 실시한 비율이 초등학교 6학년 95.9%에서 고등학교 2학년 68.6%로 줄었다. 지역사회 요인으로 금연 관련 홍보 노출이 초등학교 6학년 93.3%에서 고등학교 2학년 69.7%로 감소했으며 미디어를 통한 흡연장면 노출은 초등학교 6학년 39.2%에서 고등학교 2학년 60.4%로 늘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청소년의 담배제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학생의 경우 기존의 궐련보다 액상형 전자담배를 더 선호하는 양상이 뚜렷이 나타났다”며,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해 제품 유형별 규제 강화와 정책적 대응이 시급한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김동주 기자 ed30109@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