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국회 문체위 인청서 콘텐츠 육성·관광 산업 청사진 제시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한스경제=김현경 기자 |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K-컬처 300조원 시대, 관광객 3000만 시대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최 후보는 이날 국회 문체위 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문화가 곧 경제이고, 국제경쟁력이다. K-팝, K-드라마, 게임, 웹툰, 출판 등 콘텐츠산업은 2023년 매출액 154조원, 수출액 133억불로 연평균 5~6%의 성장률을 보여 온 국가 핵심 산업"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K-컬처 육성을 위해선 "영화, 게임 등 핵심 산업이 처한 위기를 돌파하고, 콘텐츠 제작사, 토종 OTT 등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을 향해 힘차게 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콘텐츠 IP를 기반으로 성장을 돕는 정책금융 확대, 세제지원, 문화기술 R&D 혁신, 해외 진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관광객 유치를 위해선 "K-관광의 전략과 새 틀을 짜겠다"며 "관광기업의 디지털‧인공지능 전환 지원, 관광산업 규제의 합리적인 개선 등을 통해 관광산업의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마이스, 크루즈, 치유 등 고부가 가치 관광산업이 육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앞서 최 후보는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서에서 국내 지도가 구글 등 글로벌 플랫폼에 제공되면 외국인의 방한 관광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지도 국외 반출 금지' 규제에 대한 입장을 묻는 문체위 위원들의 질의에 "세계 관광객들이 여행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 중 하나가 지도서비스"라며 "세계적으로 이용자가 많은 구글이나 애플의 '길찾기 서비스'를 국내에서 편리하게 제공하는 등 글로벌 여행 플랫폼 서비스 활용을 한국 내에서 확대하는 것은 외래 관광객의 여행 편의성과 만족도 제고, 지역관광 활성화, 국내 관광산업의 성장을 위해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인공지능 대전환에 발맞춘 AI 콘텐츠 창 제작과 유통 등 콘텐츠산업 생태계 혁신 전략 수립,  스포츠 강국 위상에 걸맞게 전문체육 투자 강화, 예술인 창작 전념을 위한 예술인 맞춤형 사회 안전망을 구축도 제안했다. 

한편, 최 후보는 자녀 취업 특혜 및 증여세 대납 의혹, 부동산 재산신고 축소 의혹 등이 제기되기도 했다.

김현경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