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대미수출 의존도 전체의 20%
OECD 독일·일본 제조업 비중 보다 높아
정부, D-5 막판 관세협상 '총력'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 한스경제=이수민 기자 | 내달 1일부터 시행되는 미국 상호관세가 현실화될 시, 국내 산업의 전방위적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의 대미 수출 의존도가 전체의 20%가량을 차지하는 데다, 제조업 비중 또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 비중은 2015년 30.2%에서 2019년부터 2022년까지는 28%대를 기록했다. 2023년은 이보다 소폭 낮아진 27.6%로 집계됐다. 다만 OECD 회원국 평균(15.8%) 보다는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아일랜드(31.%)였다. 전통 제조업 강국인 독일과 일본은 각각 20.1%, 20.7%였다.

앞서 미국은 내달 1일부터 한국에서 수입되는 물품에 25%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는 자동차(25%), 철강·알루미늄(50%) 등 품목 관세를 제외한 한국산 제품에 기본관세(10%)를 부과하고 있다. 

상호관세가 이대로 현실화되면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 이차전지 등의 가격 경쟁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곧 대미 수출 감소로 이어지며, 국내 제조업 생산 위축을 가져올 수 있다.  

한국 정부는 상호관세 및 자동차 등의 품목 관세 조정을 위해 막판 협상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앞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25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나 한미 제조업 협력강화 방안을 포함해 관세협상 타결방안을 논의했다. 

대통령실은 "양측은 조선, 반도체를 비롯한 전략 제조업 분야에서 상호 협력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하고, 앞으로 그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다"라며 "우리 측은 양국 간 제조업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와 상호관세 완화를 미국 측에 강하게 요청했다"라고 전했다. 

이번 주에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만나 관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