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유진 기자 | 이재명 정부가 디지털자산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과는 대조적으로, 실무 차원에서는 여전히 보수적인 접근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자산운용사들을 상대로 상장지수펀드(ETF) 내 가상자산 관련 기업의 비중 확대를 자제하라는 구두 지시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이달 초 일부 운용사에 대해 코인베이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등 가상자산 투자 기업을 포트폴리오에 과도하게 편입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보유·매입·담보 취득·지분투자 등을 금지하는 내용의 기존 행정지도를 준수해달라는 취지다.
금감원 관계자는 “가상자산 편입에 대해 보수적인 스탠스를 취하는 건 이전부터 있었던 범정부적 기조”라며 “최근 가상자산이 주목받는 상황에서 공식적으로 관련 법제화가 되지 않았다 보니 회사들간 형평성이 우려돼 기존 기준을 감안해달라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일부 자산운용사는 최근 미국 주요 스테이블코인 관련 기업인 써클의 ETF 편입 비중을 줄이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결정이 당국의 분위기를 의식한 조치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가상자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만 실무진들 사이에선 글쎄다”라며 “아직 가상자산 관련 법제화가 안 된 만큼 보수적인 지수 편입을 간접적으로 요구받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 같은 당국의 경고는 최근 일부 액티브 ETF에서 가상자산 관련주 비중을 확대하는 시도가 이어진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미국 내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우호적 기조가 관련 종목 주가에 영향을 준 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와 여당은 디지털자산의 제도권 편입을 위한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올 하반기 중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디지털자산 혁신법’ 발의와 디지털자산위원회 신설 등을 예고했다.
김유진 기자 yuj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