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정평국 기자] 김영록 전남지사는 19일 도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호우 피해 및 응급복구 점검회의를 열고 "도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 복구활동을 서두르며 소소한 피해라도 빠짐없이 철저히 집계하라"고 지시했다.
도에 따르면 지난 17일부터 사흘간 전남지역에는 평균 202.0㎜ 비가 내렸으며 광양 백운산은 556㎜ 최대 강수량을 기록했다. 이 밖에 곡성 옥과 469.5㎜, 나주 금천 458.5㎜, 무안 해제 455.5㎜ 등 일부 지역에는 극한 강우가 쏟아졌다.
이번 폭우로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주택 침수 475동, 가축 21만8000여 마리 폐사, 농작물 침수 5228㏊, 사면 및 제방 유실 등 공공시설 피해 187건 등 크고 작은 재산 피해가 집계됐다.
김 지사는 "다행히 인명피해나 대형 피해는 없었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며 응급복구를 신속히 마무리하고 후속 호우에도 대비해야 한다"며 "침수된 주택은 조속히 퇴수 조치하고 철도 등 주요 시설은 맞춤형 복구를 추진하라"고 당부했다.
이어 "그간 배수 개선과 재해대책사업, 주민 대상 대피훈련 등을 꾸준히 시행한 덕분에 예상보다 피해가 적었다"며 "시우량 100㎜에도 버틸 수 있는 대응체계를 지속 강화해 나가자"고 밝혔다.
특히 "대형 피해는 없었지만 소규모 피해가 많은 만큼 피해가 누락되지 않도록 집계를 철저히 하라"며 "농작물 피해도 읍면단위로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달라"고 지시했다.
회의를 마친 김 지사는 곧바로 나주 동강면 원예작물 침수 현장과 영암 나불도 배수통문 파손 현장을 찾아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신속한 복구를 당부했다.
나주 동강면에서는 비닐하우스 6㏊가 침수됐으나 현재는 퇴수 조치를 마치고 정밀 조사가 진행 중이다. 영암 나불도에서는 1배수통문이 파손되면서 하천수가 유입돼 농경지가 침수되고 주민과 숙박업소 투숙객 등 134명이 긴급 대피했다. 응급복구는 완료됐으며 대피 주민은 모두 귀가했다.
도는 피해 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복구는 물론 중장기 재해예방 대책을 병행해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정평국 기자 a36316710@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