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스트 오브 신세계' 4개존으로 구성
우수한 K푸드 브랜드 발굴에도 목적
"외국인 관광객 K미식 쇼핑성지 거듭나길"
[한스경제=이수민 기자] "K푸드가 성장하면서 외국인 관광객들의 쇼핑 트렌드도 바뀌고 있습니다. 뷰티, 패션만큼이나 K푸드는 오늘날 중요한 관광 상품이 됐습니다."
18일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이 약 1년 간의 재단장 준비를 마치고 문을 열었다. 비가 오는 궃은 날씨에도 오전부터 외국인 관광객으로 북새통을 이뤘다. 신세계백화점 본점 11층 면세점 구간에 들어서면 이번 리뉴얼의 가장 핵심인 ‘테이스트 오브 신세계(TASTE OF SHINSEGAE)’가 펼쳐진다. 해당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곳에서는 초콜릿, 스낵, 포장식품부터 디저트, 지역 특산품, 건강기능식품까지 다양한 K푸드 브랜드를 만날 수 있다.
8평 남짓했던 기존의 푸드존이 40평대까지 확장된 배경에는 'K푸드'의 글로벌 성장이 자리한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신세계면세점의 식품 카테고리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약 40% 증가했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과거에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메인 쇼핑 카테고리가 뷰티였다면 최근에는 식품이 두드러지게 성장하고 있다"라며 "테이스트 오브 신세계는 이런 식품 트렌드가 반영된 공간이다. 한 개의 조닝을 모두 식품으로 채운 것은 이번이 첫 사례다"라고 말했다.
'테이스트 오브 신세계'는 크게 △슈퍼마켓 △K트렌드(팝업) △건강기능식품 △디저트 총 4개의 존(zone)으로 구성됐다.
슈퍼마켓존은 K푸드 스테디셀러 상품들로 채웠다. 비비고 간편식, 전통 참기름·고추장 등 지역 특산품과 바프 아몬드, 삼양 불닭소스, 빙그레 바나나우유 등이 대표적이다. 건기식존에는 홍삼 제품은 물론 세노비스, GNC, 오쏘몰 등 인기 글로벌 브랜드가 입점했다.
슈퍼마켓존과 건기식존이 전 세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공간이라면, K트렌드존과 디저트존은 글로벌 MZ관광객들을 집중적으로 겨냥한다. 디저트존 대표 입점 브랜드인 '브릭샌드'는 벽돌 모양의 휘낭시에로 일찍이 국내외 입소문을 탔다. 김 랑그드샤로 일본인 관광객들에게 유명한 '그래인스 쿠키'도 디저트존 한편에 자리했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브릭샌드의 경우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높아 인천공항점에도 들어설 예정"이라며 "디저트존 입점 브랜드와 같은 우수한 K푸드 브랜드를 발굴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취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팝업존은 K푸드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한 신세계면세점의 목표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홍대와 북촌, 성수 등 서울 각지에서 유명세를 타거나 외국인 여행객들이 선호할 만한 브랜드를 다각도로 발굴했다.
신세계면세점에 따르면 팝업존 내 브랜드는 평균 3, 6개월 기간 동안 운영된다. 입점 브랜드 발굴을 위해 SNS 탐방 등 시장조사에 특별히 심혈을 기울였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중소 브랜드와 발맞춰 성장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다. 팝업존에 들어서는 브랜드들이 좋은 성적을 내면 추후 단독 매장을 내고 인천공항 입점까지 가능하도록 지원할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현재 명동점 팝업존에는 만나당(약과·한과), 슈퍼말차(티·랑그드샤), 니블스(초콜릿), 타이거모닝(진저샷), 케이첩(소스), 팔도카라멜(카라멜), 꼬밥꼬밥(쉐이크 간편식) 등이 입점되어 있다.
채정원 신세계디에프 MD담당 상무는 "서울 주요 상권의 최신 트렌드와 감성을 면밀히 분석해 명동점에 집약하고, 고객이 한국을 대표하는 트렌디한 브랜드와 제품을 편리하게 만나볼 수 있도록 기획했다"라며 "앞으로도 K콘텐츠 중심의 상품 개발과 매장 운영을 강화해 면세 쇼핑의 매력을 알리고, 브랜드와 상생할 수 있는 혁신을 이어가겠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이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한국에 오면 꼭 들러야 하는 공간이 되었으면 한다"라고 전했다.
이수민 기자 sum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