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자유총연맹, 2022년 이후 주식 양수협상 지지부진
-노조 "경영진과 주주들은 조속히 재공영화 이행하라" 촉구
[한스경제=이성철 기자] 발전설비 운전 정비를 맡고 있는 한전산업개발의 재공영화 작업이 수년째 지지부진하자 노조가 경영진과 대주주에 조속한 이행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전산업개발 노조는 최근 '제5차 한전산업개발 이사회'가 열린 회의장 앞에서 경영진과 대주주를 상대로 재공영화를 위한 한전의 주식 매입을 요구하며 항의했다.
한전산업개발은 지난 1990년 한전 자회사로 출범한 후 발전5사(남동·남부·동서·서부·중부발전) 연료·환경설비 운전업무를 수행해오다 2003년 정부의 민영화정책으로 한전이 자유총연맹에 지분 51%를 매각하면서 민간기업으로 운영돼 오고 있다.
그러다 2018년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비정규직 근로자 고 김용균씨가 작업 중 사망하는 사건을 계기로 발전현장에서의 '위험의 외주화'를 방지하고자 2020년 5월 통합 노·사·전문가 협의체는 한전산업개발을 한전의 자회사로 편입시킨 후 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를 한전산업개발 정규직으로 전환키로 결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한전과 산하 발전5사에 '통합협의체 후속조치 이행 협조 공문'을 발송하며 한산의 재공영화에 힘을 실었다.
이에 2021년 7월 한전과 자유총연맹 간 주식양수 협약이 체결됐고 2022년 9월에는 자유총연맹에서 한전에게 지분 거래(2%+프리미엄)를 제안하기도 했다.
현재 한전산업개발은 자유총연맹이 31%로 최대주주이며 2대 주주인 한전이 29%의 지분을 보유중으로 한전이 자유총연맹의 2% 지분을 인수해 최대주주로 지배력을 행사하면 재공영화는 성사된다.
그러나 한전과 자유총연맹의 미온적 태도가 지속되면서 이를 두고 한전의 어려운 재무상황과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유총연맹의 입장이 서로 맞물리면서 재공영화 논의가 묻히고 있는 것 아니냐는 설명이다.
실제로 205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채무를 지고 있는 한전 입장에서 주식 매입에 선뜻 나서기는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다.
여기에 자유총연맹이 매년 수십억원에 이르는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알짜배기' 업체를 매각하기 꺼려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도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김동철 한전 사장은 "자유총연맹과 지분인수 가격에 이견이 있지만 한전이 한전산업개발의 재공영화를 약속한 만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한 바 있다.
이성철 기자 leesc@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