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의 혼인 건수가 10년 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의 혼인 건수가 10년 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은영 인턴기자] 지난해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의 혼인 건수가 10년 새 최고치를 기록하자 일본 언론이 주목했다. 현지 언론은 혼인 증가 배경으로 한국의 경제력 향상과 한류 문화를 꼽았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하 닛케이)은 13일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이 결혼하는 건수가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의 혼인 건수는 전년 대비 40% 증가한 1176건으로 지난 10년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인 여성과 일본인 남성의 혼인 건수는 10년 전의 5분의 1 수준인 147건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일본인과의 국제결혼은 13% 증가했다.

닛케이는 “1970~1980년대에는 일본의 경제력과 농촌 일손 부족 등으로 한국인 여성이 일본인 남성과 결혼해 일본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1980~1990년대에는 통일교 합동 결혼으로 한국으로 건너가는 일본인 여성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0년대 중반 이후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한국이 일본을 추월하며 급여 수준이 동등해졌다”고 전했다.

해당 언론은 한국과 일본의 소득 격차 축소 외에 2000년대 초반 인기를 끌었던 한류 문화도 영향을 미쳤다고 짚었다.

닛케이는 “한국 드라마 ‘겨울 연가’ 등을 본 세대들이 한국에 대한 호감으로 자녀들의 결혼을 쉽게 받아들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한국에서 일본 불매 운동이 일었던 2019년 당시 일본 여성의 95%가 불안을 느꼈다”며 “결혼 열기를 유지하려면 안정된 정치·외교 관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은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