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3분기 소매유통업 전망치 급등...4년만 최고
유통업계 희비 엇갈려...사용처 기준 두고 의견 '분분'
편의점 최대 수혜처 기대...휴가시즌 시너지
대형마트·SSM 울상..."산업 전체 활성화 기여해야"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1인당 15만~55만원의 소비쿠폰을 소득별로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대형마트와 백화점 및 면세점,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 사진=최대성 기자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1인당 15만~55만원의 소비쿠폰을 소득별로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대형마트와 백화점 및 면세점,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 사진=최대성 기자

[한스경제=이수민 기자] 정부의 13조 규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에 따라 경기회복에 대한 유통업계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모처럼 소비 활성화를 앞두고 시장이 분주한 가운데 업종별 희비도 엇갈리고 있다.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1인당 15만~55만원의 소비쿠폰을 소득별로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사용기한은 올해 11월 30일까지다. 전통시장, 동네 및 하나로 마트, 편의점 가맹점, 미용실, 안경점, 학원, 약국, 식당 등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사업장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대형마트와 백화점 및 면세점, 배달앱(대면 결제시 제외),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이번 정책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 보호를 비롯해 전반적인 경기회복을 취지로 기획됐다. 실제로도 소비효과 기대감은 높은 수준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13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조사에 따르면 소매유통업 전망치는 전 분기 대비 27p 급등한 102로 집계됐다. RBSI는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다음 분기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주식시장 상승세와 금리 인하 기대감,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2.4%)이 '새 정부 출범이 자사가 속한 업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응답했다. 오는 7~8월 여름 휴가시즌 기간 동안의 시너지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다만 유통업계 업종별로 희비는 엇갈린 상황이다. 먼저 편의점(108)과 온라인쇼핑(105)의 기대전망은 나란히 기준치를 웃돌았고, 슈퍼마켓(100)과 백화점(100)도 기준치에 머물렀다. 유일하게 대형마트(89)만 기준치 아래로 집계됐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온·오프라인 통틀어 가장 높은 기대감을 나타낸 편의점은 여름철 수요가 높은 음료 및 주류 상품 등을 대상으로 발 빠르게 할인 프로모션을 전개하고 있다. 올 상반기 점포수 감소 등 역성장을 이뤘던 편의점 업계가 소비쿠폰 정책을 전화위복 계기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20년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실제로 편의점 GS25의 지역화폐 사용액은 5월 20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여름 휴가시즌 중 유동 인구 증가에 따른 음료, 간편식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여기에 소액 결제가 많고 높은 접근성과 편리성으로 인해 소비쿠폰을 이용 가능성이 높아 정부 정책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슈퍼마켓의 경우 지역 밀착형 특성상 편의점과 더불어 소비쿠폰의 주요 사용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백화점은 주식시장 반등에 따른 부의 효과가 명품, 고가 패션, 주얼리 등 프리미엄 상품군 매출을 견인할 것이란 분석이다. 

업태 중 유일하게 기준치를 하회한 대형마트 분위기는 좋지 않다. 소비쿠폰 사용이 제한된 데다, 온라인 채널 및 슈퍼마켓과의 가격경쟁이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되어서다. 

이 때문에 사용처 구분 기준 형평성 논란 또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온라인 장보기가 활성화되면서 대형마트의 위상이 과거와 같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SSM(기업형 슈퍼마켓)의 경우 절반 이상이 개인사업자가 운영하는 가맹점임에도 이번 소비쿠폰 대상에서 제외 돼 반발을 샀다. 

업계 관계자는 "전통시장과 대기업의 구분만이 답은 아니다"라며 "시대 흐름에 따라 보다 실효성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현재는 유통산업 전반에서의 활성화가 요구된다"라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