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박정현 기자] 올해 3분기 국내 소매유통업계의 경기 회복 기대감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새 정부 출범과 주식시장 반등, 소비쿠폰 지급, 여름휴가 특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13일 대한상공회의소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온라인쇼핑 등 500개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3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조사에서 지수가 10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RBSI는 해당 분기의 경기 전망을 수치화한 지표로, 100을 넘으면 직전 분기보다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이번 수치는 2021년 3분기(106) 이후 4년 만에 기준선을 웃돈 것이며, 지난 분기(75)와 비교해도 27포인트 급등했다.
대한상의는 “주식시장 상승, 금리 인하 기대, 소비쿠폰 지급, 여름휴가 등 소비 진작 요인이 맞물려 경기 기대감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중 절반 이상(52.4%)은 “새 정부 출범이 자사 업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업태별 전망에는 희비가 엇갈렸다. 편의점(108)과 온라인쇼핑(105)은 기준치를 웃돌며 강한 회복 기대감을 보였다. 슈퍼마켓과 백화점은 100으로 기준선에 도달했다. 반면, 대형마트(89)는 유일하게 기준치를 밑돌며 상대적으로 부진한 전망을 나타냈다.
특히 편의점은 지난 분기(71) 대비 37포인트 급등하며 모든 업태 중 가장 높은 기대치를 기록했다. 여름철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음료·간편식 수요 확대와 함께, 소비쿠폰을 통한 직접적 정책 수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온라인쇼핑 역시 여행·레저용품, 항공·숙박 등 계절 특수 품목의 수요 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슈퍼마켓은 고물가에 따른 집밥 선호 현상과 함께 소비쿠폰의 주요 사용처로 부각되며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백화점은 주식시장 반등에 따른 ‘부의 효과’로 명품, 고가 패션, 주얼리 등 프리미엄 제품의 소비가 살아날 것으로 기대된다. 여름휴가 시즌 특수도 시너지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대형마트는 소비쿠폰 사용이 제한되고 온라인쇼핑 및 슈퍼마켓과의 가격경쟁 부담이 커지며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전망이 제기됐다.
이희원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새 정부와 소비 진작책에 대한 기대는 크지만 실제 소비 회복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수”라며 “하반기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내수 진작 행사는 물론 규제 개선과 신산업 육성 등 구조적 처방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현 기자 awldp219@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