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현국 넥써쓰 대표가 11일 X (옛 트위터)플랫폼에  핵심 전략을 공개했다.  /이미지=넥써쓰
장현국 넥써쓰 대표가 11일 X (옛 트위터)플랫폼에  핵심 전략을 공개했다.  /이미지=넥써쓰

[한스경제=전시현 기자] 장현국 넥써쓰(NEXUS) 대표가 게임 플랫폼 구축, 스테이블코인 확장, 비트코인 중심 재무를 축으로 한 야심찬 3대 핵심 전략을 공개했다. 단순한 사업 계획을 넘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가상과 현실을 잇는 디지털 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것이다.

장 대표는 11일 자신의 SNS를 통해 “누구나 기억할 수 있을 만큼 단순한 전략”이라며 그 첫 단추로 자사가 개발 중인 오픈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크로쓰(CROSS)를 꼽았다. 그는 “모든 게임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서로 다른 게임의 아이템이나 재화가 넘나드는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것”이라며 “기술을 넘어 유저들이 실질적인 재미를 느끼는 게임을 구현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밝혔다.

두 번째 전략의 핵심은 스테이블코인이다. 장 대표는 “게임이야말로 스테이블코인이 가장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는 최고의 수요처”라며 “게임 플랫폼 크로쓰가 스테이블코인 대중화의 발사대 역할을 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상반기 토큰 발행과 플랫폼 구축에 집중했다면, 하반기부터는 다양한 게임들을 플랫폼에 올리며 본격적인 사업 고도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함께 운용하는 독자적인 재무 전략을 제시했다. 장 대표는 “블록체인 기업에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균형 있게 보유하는 것보다 더 나은 전략이 있겠는가”라고 반문하며 “이는 단순한 자산 보유를 넘어 회사의 장기적 성장을 담보하는 제도적 장치”라고 그 의미를 강조했다.

이러한 넥써쓰의 구상은 단순한 선언에 그치지 않고 있다. 넥써스의 핵심 프로젝트인 크로쓰(CROSS) 토큰이 최근 세계 최대 디지털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선물 시장에 상장되며 글로벌 무대에서의 영향력을 빠르게 키워가고 있다. 바이낸스는 통상 초기 유망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알파 마켓을 거쳐 선물, 현물 순으로 단계적 상장을 진행하며 프로젝트의 시장성과 신뢰도를 검증한다. 크로쓰가 이 관문을 통과했다는 것은 그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크로쓰는 현재 바이낸스 외에도 비트겟, 쿠코인 등 다수의 글로벌 거래소에서 거래되며 하반기 게임 중심의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시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