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류정호 기자] 지난 3월 경남 창원 NC파크에서 발생한 프로야구 관중 사망 사고와 관련해, 시설물사고조사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의 공정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당시 사고는 NC 다이노스의 홈구장인 창원 NC파크에서 발생했다. 경기장 외장 마감재인 ‘루버’가 낙하하면서 관람객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치는 참사가 벌어졌다. 이 사고로 NC는 약 2개월간 홈경기를 개최하지 못했다.
창원시는 사고 이후 전문가 9인으로 사조위를 구성하고, 4월 23일 첫 회의를 열었다. 이후 사조위 요청으로 전문 분야 인사 2명을 추가 위촉해 현재는 총 11명의 위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경찰 수사 대상인 창원시가 직접 사조위를 꾸려 또 다른 이해당사자인 NC 구단을 조사하는 것은 형식과 절차상 모두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사조위 회의에 참석한 위원들에게 수당을 지급하는 주체가 창원시라는 점에서 ‘셀프 조사’라는 비판도 나온다.
이에 대해 NC 다이노스는 “구단은 진실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해 적극 협조할 의사가 있지만, 현재 사조위의 공정성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객관적인 조사와 재발 방지책 마련을 위해 공정한 위원회가 운영되길 바란다”고 입장을 밝혔다.
논란에 관해 창원시는 “사조위는 ‘중앙시설물사고조사위원회 운영 규정’에 따라 구성·운영되고 있으며, 동 규정 제6조의2(위원의 제척·기피·회피)에 따라 공정한 사고 조사가 가능한 위원들로 구성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공정성 확보를 위해 국토교통부 인력 풀을 최대한 활용해 위원을 선정했으며, 규정 제8조 및 제9조에 따라 위원장이 공정하고 명확한 조사가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창원시는 사조위 회의록 및 위원 구성 인력의 공개 여부에 관해서도 “중앙사조위 운영 규정 제15조에 따라, 정보 공개가 사고 조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비공개가 가능하다”며 “위원회에서 이를 논의한 결과 비공개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창원시는 끝으로 “위원들은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성실하게 조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창원시는 간사 역할만을 맡고 있다”고 강조했다.
류정호 기자 ryutility@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