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스마트팩토리·물류로봇 등 산업 현장 확대 목표
인천 송도 RAPA IoT기술지원센터에서 LG유플러스 직원들이 레드캡 기술로 연결된 드론을 시험하고 있다./LG유플러스 
인천 송도 RAPA IoT기술지원센터에서 LG유플러스 직원들이 레드캡 기술로 연결된 드론을 시험하고 있다./LG유플러스 

[한스경제=박정현 기자] LG유플러스는 한국전파진흥협회(RAPA)·퀄컴 테크날러지스·뉴젠스와 5G 기반 경량 사물인테넛(IoT) 기술인 ‘레드캡'의 상용화 및 국내 5G 사물인터넷(IoT) 생태계 확장을 위한 단말 검증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레드캡은 단말 기능을 간소화해 비용은 낮추면서도 산업 현장에 필요한 데이터 전송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IoT 기술 규격이다. 통신업계는 레드캡이 향후 산업용 IoT 시장의 성장을 이끌 핵심 기술로 보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레드캡 기술 실증의 초기 기획부터 기술 자문, 시험 환경 제공까지 전방위 지원에 나선다.

RAPA는 전자파기술원 내 IoT기술지원센터에 기술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내 최초 통신사 상용망 수준의 특화망 단말 검증 체계를 마련했다. 

퀄컴은 레드캡 기술의 글로벌 표준화와 칩셋 개발을 진행해 온 기업으로, LG유플러스와 상용망·특화망 환경에서 레드캡 기술 검증·연동 시험을 수행한다.

뉴젠스와 에릭슨은 레드캡 특화망 네트워크 기술 개발과 지원으로 국내 산업 현장에 적합한 IoT 환경을 조성한다.

이번 실증은 국내 최초로 통신사가 주도한 레드캡 기반 특화망 검증 사례다. 자율이동로봇(AMR)의 안정적인 제어에 있어 5G 레드캡 동글을 활용한 저지연·고신뢰 통신환경의 효과를 기존 와이파이(Wi-Fi) 및 LTE 기반 관제 시스템과 실시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실증사업을 기반으로 스마트팩토리·물류로봇·스마트 계량기·산업용 센서 등 다양한 현장에 IoT 활용을 확대해 기업 고객의 비용 부담을 낮출 방침이다. 레드캡 기반 특화망 서비스를 통해 산업별 IoT 시장을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박정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