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구 작은 환자에게도 로봇 폐이식 가능성 입증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영태)은 최근 세계적으로 드문 로봇 폐이식 수술을 국내 최초로 시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수술은 NYU Langone Hospital, Cedars-Sinai Hospital, Duke University Hospital, Cleveland Clinic, Vall d'Hebron Hospital 등 전 세계 소수의 병원에서만 가능할 정도로 고난도로 꼽히는 수술이라고 병원은 설명했다.
이번 사례를 통해 체구가 작은 한국인 환자에게도 로봇 폐이식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것이 병원 측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로봇 폐이식은 서구형 체형에 최적화된 기술로, 좁은 흉곽 구조에서는 수술 부위 접근이 어렵고 로봇 팔 조작이 제한적이다.
수술을 받은 환자는 폐섬유증으로 인해 중증 호흡 곤란을 앓아온 66세 남성 윤병섭씨다. 폐섬유증은 폐조직이 점차 굳어 기능이 저하되는 만성 질환으로, 약물 치료나 산소 요법만으로는 회복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환자 역시 증상이 급격히 악화돼 폐이식 외에는 치료가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다.
서울대병원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끝에 지난달 19일 로봇 폐이식 수술을 결정하고 시행했다. 갈비뼈 사이를 최소한으로 절개하고 로봇 팔을 이용해 손상된 폐를 제거한 뒤, 기증 폐를 정밀하게 이식하는 방식으로 약 8시간에 걸쳐 수술을 진행했다. 현재 환자는 산소 공급 없이도 자연 호흡이 가능할 정도로 빠르게 회복 중이다.
윤병섭씨는 “이전에는 숨쉬는 것조차 버거웠지만, 지금은 산소 없이도 일상생활이 가능할 만큼 회복했다”며 “소중한 생명을 나눠주신 기증자분과 수술을 집도해주신 의료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로봇 폐이식은 기존 개흉 수술보다 절개 범위가 작고 출혈과 통증이 적으며 회복 속도도 빠르다. 의료진은 고화질 3D 영상을 통해 수술 부위를 확인하고, 로봇 팔을 통해 복잡한 절제와 봉합을 수행할 수 있다. 폐는 심장과 주요 혈관, 기관들이 인접한 부위에 위치해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데, 로봇 수술은 이러한 수술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설명이다.
이번 수술은 서울대병원의 다학제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심장혈관흉부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수술간호과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했다.
수술을 집도한 박샘이나 교수(심장혈관흉부외과)는 “이번 수술은 최소 침습 로봇 수술을 통해 회복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체구가 작은 환자에서도 정밀한 폐이식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중요한 사례”라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