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영구정지 결정후 8년만에 의결…총 1조713억원 투입·12년 소요
500조 규모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 진출 기대
폐로 예정인 고리 1호기(사진=한국수력원자력)
폐로 예정인 고리 1호기(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스경제=김근현 기자]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 해체가 승인됐다. 지난 2017년 영구정지 결정 이후 8년 만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26일 제216회 회의를 열고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제출한 고리 1호기 해체계획서를 심의·의결해 최종 승인했다. 

원안위는 “해체에 필요한 기술 능력과 계획이 관련 규정에 적합하며, 해체 과정에서의 피폭 방사선량도 법정 기준 이내”라고 승인 사유를 밝혔다.

고리 1호기는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국내 1호 상업용 원전으로, 1977년 가동을 시작해 30년의 설계 수명을 마친 뒤 2007년 계속운전 승인을 받아 2017년 5월까지 운영됐다. 

2015년 2차 계속운전 여부를 놓고 해체산업 육성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2017년 6월 영구정지가 결정됐다. 

이후 한수원은 2021년 5월 원안위에 해체계획서를 제출했다.

해체 심사가 장기간 지연된 주된 원인은 사용후핵연료(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 방안이 미비했기 때문이다. 

KINS는 관련 계획의 구체성과 안전성을 문제 삼아 약 5차례에 걸쳐 한수원에 보완 요구를 했다. 

이날 기준 고리 1호기에서 발생한 사용후핵연료는 총 1391다발로 이 중 485다발이 1호기 내부 임시수조에 보관돼 있다.

고리 1호기 해체 작업은 오는 2037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원안위 관계자는 “국내 첫 해체 사례인 만큼 예기치 못한 변수가 생길 경우 일정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원전 해체 경험이 있는 나라는 미국, 독일, 일본, 스위스 4개국이다.  고리 1호기를 성공적으로 해체할 경우 한국도 5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근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