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공공 초거대 AI 서비스 5개 과제 수행기업 모집
AI 민원분석·건강보험 상담 서비스로 효율성 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

[한스경제=박정현 기자] 정부가 초거대 인공지능(AI)을 공공분야에 본격 도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20일 '2025년도 초거대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 수행기업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초거대 AI를 기반으로 행정 효율화, 대국민 서비스 혁신, 사회현안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공공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정부는 지난 1~2월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과제를 공모해 총 5개 과제를 선정했다. 국민권익위원회와 국세청 과제의 민간 전문기업 조달 공고를 시작으로 5개 과제별 서비스 개발지원 사업이 순차적으로 입찰공고될 예정이다.

국민권익위원회의 '생성형 AI기반 국민소통·민원분석 체계 구축'은 국민소통시스템에 생성형 AI기반 민원분석 체계를 도입해 민원처리 행정 효율화와 답변품질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대량의 민원업무를 신속·효율적으로 대응, 민원업무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국민의 신뢰도 향상에도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국세청의 '생성형 AI기반 국세 상담 지원 서비스'는 납세자가 홈택스 이용 시 전자신고 관련한 문의사항을 즉시 해소할 수 있는 실시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동 서비스를 통해 홈택스에 상담전용 AI챗봇을 도입하여 전화 상담 시 발생하는 장시간 대기 문제를 해결하고 어려운 세무 용어 등으로 인한 불편사항을 개선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해외인증 공공특화 AI 에이전트 서비스'는 모바일 플랫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 사용자 친화적인 모바일 기반 해외인증 특화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에이전틱 AI기반 전국민 맞춤형 민원 상담 서비스'는 국민 생활과 편익에 직결되는 건강보험 민원 상담업무에 AI를 도입하여 24시간 개인 맞춤형 민원 상담 서비스를 구현한다.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지방재정 지능화 서비스'는 e호조+, 지방재정365 등 지방재정서비스에 생성형 AI를 접목시켜 대국민, 공무원 등 각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융복합 재정정보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김경만 과기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선정된 과제에 대해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행정 현장의 변화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창출·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정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