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양지원 기자] 수제 맥주 ‘곰표 밀맥주’를 둘러싸고 대한제분과 세븐브로이의 갈등이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대한제분은 18일 입장문을 통해 “세븐브로이가 지속적 허위사실 유포로 당사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업무를 방해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초래한 데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또 세븐브로이가 주장하는 손해는 대한제분과 무관하므로 채무부존재 확인의 소를 제기했다”라고 덧붙였다.

곰표밀맥주는 제조를 맡은 세븐브로이와 상표권을 보유한 대한제분이 협업해 2020년 5월 출시한 맥주다. 출시 3년간 6000만 캔 판매고를 올리며 인기를 끌었다.

2019년까지 적자였던 세븐브로이는 2021년 118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이 여세를 몰아 코스닥시장 상장까지 준비했다.

그러나 대한제분은 2023년 3월 상표권 계약이 만료되는 세븐브로이가 곰표 브랜드를 앞세워 상장하는 것을 우려했으며 파트너사를 제주맥주로 교체한 뒤 ‘곰표밀맥주 시즌2’를 출시했다.

이에 세븐브로이는 대한제분이 시장 지배적 사업자의 지위를 앞세워 계약을 일방적으로 종료했다며 곰표밀맥주의 제조법을 제주맥주에 유출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세븐브로이는 계약 종료 이후 대한제분이 맥주 사업을 중단하거나 기존 곰표밀맥주와는 다른 맛과 성분의 맥주를 판매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제분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곰표 밀맥주 협업이 3년 기한의 상표 라이선스 계약에 따른 일시적 프로젝트였으며 2023년 계약 만료와 함께 정상 종료됐다고 밝혔다. 대한제분은 “한시적 마케팅인 콜라보의 특성상 계약기간이 끝나면 계약도 자동 종료되는 것이 당연함에도, 세븐브로이는 마치 곰표맥주의 상표권자인 것처럼 독점적 권한을 주장하며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대한제분은 또 “적자였던 세븐브로이는 대한제분과의 콜라보를 통해 3년간 800억 원대의 매출을 올린 반면, 대한제분은 매출의 1.5%인 연평균 약 4억 원을 로열티로 받은 게 전부”라고 했다. 이어 “세븐브로이는 2021년도 한 해만 400억 원 매출, 119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그해 당사가 받은 상표권 라이선스 로열티는 6억 원에 불과하다”라고 덧붙였다.

대한제분은 곰표 상표권으로 이익을 거둔 건 세븐브로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사는 상표만 제공했을 뿐 제조와 판매로 인한 수익은 모두 세븐브로이에 귀속됐다"며 "수익 대부분을 가져간 쪽이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레시피 역시 표절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대한제분은 “당사는 세븐브로이로부터 레시피를 일절 받지도 않았고, 제주맥주에 전달한 적도 없다. 제주맥주 역시 '표절한 적도, 자료를 받은 적도 없다'는 입장을 법원에 제출했다”라고 말했다.

대한제분은 “각 사 고유의 레시피에 대해서는 현재도 당연히 아는 바가 전혀 없고 알 수 있는 방법도 없다”라며 “세븐브로이의 악의적 주장으로 인해 당사뿐 아니라 경영난에 처한 제주맥주도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세븐브로이 측은 대한제분의 입장을 반발하며 계약 종료 이후 유사 제품 출시와 재고 폐기로 인한 실질적 피해를 주장했다.

세븐브로이 측은 "계약이 3년 기한으로 종료된 것은 사실이지만 문제는 종료 직후 성분과 포장 디자인이 기존 곰표 밀맥주와 거의 동일한 제품이 타 제조사를 통해 출시됐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또 계약 종료 직전까지 생산된 2000톤 이상의 완성 맥주가 유통되지 못하고 폐기된 점도 피해의 핵심으로 지적했다.

레시피 유출이 아니라는 대한제분의 해명에 대해 "맥주는 수백 가지 원재료와 그 조합, 배합 비율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는 고도의 개발 과정을 거친다. 세븐브로이는 “곰표 맥주를 개발하는 데만 6개월이 걸렸다"며 "제주맥주는 기존 제품과 성분과 함량이 거의 동일하고 불과 한두 달 만에 개발부터 식약처 신고까지 마쳤다니 납득하기 어렵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이어 "대한제분은 새로운 재미를 주기 위해 세븐브로이와 계약을 해지했다고 하지만 이후 출시된 제품은 포장, 캔, 성분까지 기존 제품과 거의 동일했다"고 주장했다.

세븐브로이는 "현재 하이볼 트렌드에 맞춰 제품도 개발했고 매출도 다시 늘고 있다. 익산공장 가동률도 40%까지 회복했다"며 "현재 대한제분과 갈등으로 경영 손실이 커졌고 손실을 메우는 데 시간이 걸리다 보니 결국 법정 절차를 밝고 있지만 이 위기를 넘긴다면 충분히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지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