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화성특례시, 자살예방 종합대책 본격 추진…24시간 핫라인 누적 1537건 상담
정명근 시장 “자살,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과제…공약 실현에 모든 부서 역량 집중”
화성특례시가 자살 예방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화성특례시 제공
화성특례시가 자살 예방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화성특례시 제공

[한스경제(화성)=김두일 기자] 화성특례시가 자살 예방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시는 지난 5일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자살률 문제의 심각성을 언급한 직후, 12일 안전대책회의를 개최해 관련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시는 인구 유입 증가에 따라 정신건강 취약계층도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지역사회 전반에 걸친 대응체계 강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핵심 사업은 민선8기 정명근 시장의 1호 공약이자 1호 결재 사업인 ‘자살예방 핫라인’이다./ 화성특례시 제공
핵심 사업은 민선8기 정명근 시장의 1호 공약이자 1호 결재 사업인 ‘자살예방 핫라인’이다./ 화성특례시 제공

핵심 사업은 민선8기 정명근 시장의 1호 공약이자 1호 결재 사업인 ‘자살예방 핫라인’이다.

2022년 7월부터 운영 중인 이 핫라인은 24시간 상담이 가능하며, 지금까지 총 1,537건의 상담을 수행했다. 상담 대상은 30대와 여성이 다수를 차지했고, 주요 상담 내용은 정신적·신체적 어려움에 대한 고충 호소였다.

상담 이후에는 필요 시 지속적인 상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비 지원, 복지서비스 연계가 이뤄지며, 위기 상황에는 경찰·소방 등과 협력해 즉각 대응한다.

시는 지난 4월 봉담읍에서 자살예방 공동대응 관계기관 회의를 주최해, 17개 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 내 자살 사망 원인을 분석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화성특례시 제공
시는 지난 4월 봉담읍에서 자살예방 공동대응 관계기관 회의를 주최해, 17개 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 내 자살 사망 원인을 분석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화성특례시 제공

시는 지난 4월 봉담읍에서 자살예방 공동대응 관계기관 회의를 주최해, 17개 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 내 자살 사망 원인을 분석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와 함께 생명존중 안심마을 운영을 통해 주민 참여 기반의 자살예방 활동도 확대하고 있다.

생명존중 안심마을은 읍면동 단위로 조성되며, 보건·복지·교육·유통 등 5개 분야 기관이 참여해 자살 예방 5대 과제에 따른 활동을 수행한다. 현재 11개 읍면동, 45개 기관이 참여 중이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함께 막아야 할 공동 과제”라며, “시장으로서 가장 먼저 약속드린 1호 공약인 자살예방 사업을 시정의 중심에 두고, 모든 부서와 함께 생명존중 안전도시 화성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화성특례시 제공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함께 막아야 할 공동 과제”라며, “시장으로서 가장 먼저 약속드린 1호 공약인 자살예방 사업을 시정의 중심에 두고, 모든 부서와 함께 생명존중 안전도시 화성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화성특례시 제공

시의 대응은 제도적 기반 위에서 추진되고 있다. 시는 2022년 제정된 「정신건강 증진 및 위기대응체계 구축에 관한 조례」를 토대로 재정·행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며, 24시간 정신응급 공공병상 확보와 경찰·소방과의 협력 체계도 갖췄다.

또한, 연령별·상황별 맞춤형 전략도 병행 중이다.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직장 기반 심리상담과 정신건강 검진, 경제적 위기군 발굴 및 금융복지상담지원센터 연계, 생명지킴이 교육 확대, 시민 참여 캠페인 등이 포함된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함께 막아야 할 공동 과제”라며, “시장으로서 가장 먼저 약속드린 1호 공약인 자살예방 사업을 시정의 중심에 두고, 모든 부서와 함께 생명존중 안전도시 화성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화성특례시는 관련 대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확대해 나가며, 시민 정신건강 보호와 자살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안전망을 더욱 촘촘히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