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한강홍수통제소 찾아 장마철 수해대비 태세 점검
"안전관리업무 공무원 책임 무거워…권한 확대 필요"
담당 공무원 보상안 등 인사개편안 고안 당부
이재명 대통령이 12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에서 헌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2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에서 헌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주진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2일 "공직사회가 재난 안전관리 업무를 최우선 해야 한다"며 "세월호 참사, 이태원 참사, 오송 지하차도 참사 같은 일이 절대 재발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동작구 한강홍수통제소를 찾아 현장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장마철 수해 대비 태세를 살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부터 80분간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수해 대비 홍수 예·경보 시스템을 점검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안전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공직자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매우 막중한 의무이며 책임"이라고 강조하면서 "안전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의 책임이 무거운 만큼 권한 역시 확대돼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안전관리 직책의 위상과 권한을 강화하고, 업무 성과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필요하다"며 권한 강화와 지휘 제고, 보상안을 포함한 인사개편안을 고안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튿날인 5일에도 안전치안점검회의를 열어 장마 대비 상황을 챙긴 바 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세월호 참사, 이태원 참사,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 등을 언급하며 "예측되는 사고,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앞으로 엄정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한강홍수통제소를 점검한 뒤 용산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아 헌화와 묵념을 한 뒤 한참을 머물렀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이곳이 사람들이 밀집했던 곳인가", "지금 유족 분향소가 여전히 있나", "참사 현장의 설치물은 누가 설치한 건가"라고 묻기도 했다.

이 대통령을 만난 상인들은 “관리비도 못 낼 정도로 힘들다”면서 “서민들의 삶이 나아지는 정치를 펴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