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구민호 시의원 "지역경제 침체 전방위 확산"
인허가 단축 등 시정 전환·투자환경 바꿔야
▲여수시내 전경
▲여수시내 전경

[한스경제=하태민 기자] 전남 여수의 산업과 관광이 동시에 흔들리고 있다. 여수시의회 구민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미평·만덕·삼일·묘도)은 8일 "지역경제 침체가 전방위적으로 확산하고 있다"며 여수시의 적극적인 대응과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구 의원은 "여수국가산단 구조적 위기와 건설 원자재 가격 급등, 내수 부진 등이 겹치며 지역 경기가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며 "공장 신·증설 승인 건수가 줄고 관광·숙박·문화시설 등 민간 투자도 중단되거나 지연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여수 경제 핵심 축인 관광산업이 코로나19 회복세에 진입하기도 전에 투자 기피로 재도약 기회를 잃고 있다"며 "이대로 가다간 산업도 관광도 모두 정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구 의원은 여수시가 보다 선제적이고 전략적인 투자 유치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네 가지 실질적인 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우선 기업 투자 인허가 행정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고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다. 그는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심의 절차로 기업이 투자를 포기하고 있다"며 "전담 TF 구성과 현장 행정 지원을 통해 인허가 기간을 단축할 것을 주문했다. "울산은 인허가 기간을 3년에서 10개월로 줄인 바 있다"는 사례도 함께 제시했다.

전략 산업별 투자구역 조성과 세제·재정 인센티브 확대도 제안했다. 석유화학, 수소, 에너지저장, UAM(도심항공교통), 화이트바이오, 관광레저 산업 등 미래 신산업 분야에 대해 보다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업 입지 선정부터 행정 절차, 금융 지원, 주민 협의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기업지원센터' 설립도 요구했다. 투자 초기 단계부터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것이 기업 유치에 결정적이라는 이유에서다.

지역 주민과 상생 모델을 설계해 갈등을 사전 조율하는 구조 마련도 제안했다. 그는 "공청회 확대, 상생협의체 구성, 개발이익 환원제 도입 등을 통해 기업에 대한 시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고 했다.

구 의원은 "지금 여수는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갈림길에 서 있다"며 "시정부와 공직자 모두 '일자리 하나라도 더 만들겠다'는 책임감으로 기업이 일하고 싶은 도시, 시민이 미래를 기대할 수 있는 도시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태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