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027년 양산 목표…연 3만7000톤 생산 체계 구축
새만금개발청과 전북도, 군산시, 한국농어촌공사는 5일 포스코퓨처엠 신설 자회사인 퓨처그라프와 이차전지 음극재 핵심소재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새만금청
새만금개발청과 전북도, 군산시, 한국농어촌공사는 5일 포스코퓨처엠 신설 자회사인 퓨처그라프와 이차전지 음극재 핵심소재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새만금청

[한스경제=이인호 기자] 새만금개발청은 5일 전북특별자치도·군산시·한국농어촌공사와 함께 포스코퓨처엠 신설 자회사인 퓨처그라프와 '이차전지 음극재 핵심소재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 김관영 전북지사, 강임준 군산시장,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대표, 김정훈 퓨처그라프 대표 등이 참석했다.

퓨처그라프는 지난 5월 설립된 포스코퓨처엠의 자회사로, 2027년부터 연간 3만 7천 톤의 구형흑연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는 연간 약 3만 3천 톤의 천연흑연 음극재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서 총 투자금은 약 4400억 원이며, 120여 명의 신규 고용이 기대된다.

포스코퓨처엠은 새만금에서 생산된 구형흑연을 세종공장에서 최종 음극재로 가공해 글로벌 배터리 및 완성차 업체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흑연광석→구형흑연→음극재 완제품에 이르는 국내 공급망(K-배터리 밸류체인)을 완성하게 된다.

김경안 청장은 “포스코퓨처엠의 자회사 퓨처그라프의 새만금 국가산단 투자를 환영한다”며 “이번 투자로 새만금 국가산단이 이차전지특화단지 중심지로 자리 잡는 데 한 발짝 더 나아가게 된 만큼 기업하기 좋은 산단 조성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새만금에서 퓨처그라프가 가진 모든 기술과 역량을 발휘해 대한민국 이차전지산업의 미래가 되어주길 바란다”며 “전북도와 유관기관은 그 걸음마다 함께 하며, 기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활동하기 좋은 환경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이번 투자는 시와 퓨처그라프가 함께 내딛는 첫걸음으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산업생태계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오늘의 투자가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대표는 “갈수록 심화되는 세계 각국의 자국 중심 공급망 구축에 대응하고 국가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과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화답했다.
 

이인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