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주요 홈쇼핑사 1분기 실적 작년과 '비슷'
채널 다각화, 고마진 상품 배치 주효
송출수수료 갈등 골머리...수수료 비율 70% 넘겨
"정부 차원에서 중재 필요"
각사 제공
각사 제공

[한스경제=이수민 기자] TV홈쇼핑 업계가 올해 1분기 작년과 비슷한 수준의 성적표를 받았다. 지속되는 내수침체, TV시청 인구 감소 등으로 위기가 증폭되는 가운데, 실적은 어느정도 선방했다는 평가다. 고마진 상품 배치와 탈TV 전략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의존도가 가장 높은 TV 송출수수료 비중이 매출의 70% 이상을 넘어가면서 홈쇼핑업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주요 TV홈쇼핑 4사(현대·롯데·CJ온스타일·GS샵) 합산 매출은 전년보다 2.7% 감소한 1조1165억원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3.6% 줄어든 862억원이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소폭 감소했으나, 유통 시장 전반이 실적 부진을 겪은 올해 1분기 작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더 큰 위기는 피했다는 반응이 나온다. 

세부적으로 롯데홈쇼핑은 1분기 매출 2276억원, 영업이익 12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2.9% 증가했다. 현대홈쇼핑의 1분기 별도 매출 또한 268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9%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8% 증가한 255억원이었다. CJ ENM 커머스 부문 CJ온스타일의 매출은 4.2% 늘어난 3623억원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0.2% 소폭 줄어든 262억원이었다. GS리테일 TV홈쇼핑 부문 GS샵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감소한 2578억원, 224억원으로 나타났다. 

CJ온스타일 제공
CJ온스타일 제공

현대·롯데홈쇼핑은 수익성을 개선하고 CJ온스타일은 규모를 키우는데 성공했다. 이번 성적은 뷰티, 패션, 건기식 등 고마진 상품군 편성의 확대와 판매 채널 다각화가 주효했다.

특히 CJ온스타일의 경우 쇼핑 콘텐츠 IP 육성에 집중하면서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비중을 늘린 결과 1분기 매출 기준 업계 1위로 올라섰다. CJ온스타일의 올해 1분기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보다 92.4% 급증하고, 이커머스 매출은 5.4% 증가했다. 이는 범TV, 원플랫폼으로 불리는 채널 다각화 전략이 홈쇼핑 시장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경쟁사들도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른 대대적인 경영 전략 수정 과정을 거치고 있다. 

홈쇼핑업계가 변화를 거듭하면서 살 길을 찾아나서고 있지만, 유료방송사업자와의 수수료 갈등은 여전히 이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한국TV홈쇼핑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홈쇼핑사의 방송 매출 대비 송출수수료 비율은 73.3%로 집계됐다. 2021년 60%, 2022년 65.7%, 2023년 71%에서 꾸준히 오름세다. 송출수수료란 TV홈쇼핑(채널 사용자)이 채널 사용을 대가로 유료방송사업자에게 지불하는 이용료를 뜻한다. TV홈쇼핑 방송을 통해 10만원어치를 팔면 대략 7만원은 방송사업자에게 돌아가는 구조다. 2014년 약 1조372억원 수준이었던 송출수수료 비용은 2022년 1조9065억원까지 오르고 지난해 1조9375억원을 찍었다. 

수수료는 매년 늘어나고 있는 반면 방송 매출액은 하락세다. 현재 홈쇼핑업계 전체 매출액에서 방송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을 기점으로 50% 아래로 내려갔다. △2019년 56.5% △2020년 52.4% △2021년 51.4% △2022년 49.4% △2023년 49.1% 등으로 매년 줄고 있다. 

송출수수료와 TV방송 매출액이 반비례 그래프를 형성하는 가운데, 홈쇼핑사와 유료방송사업자들의 의견도 첨예하게 갈린다. 홈쇼핑업계는 여전히 주 수입원은 TV방송을 통해서 나오는데, 수수료 책정이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유료방송사업자는 매출 창구가 TV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바뀌는 만큼 방송 외 수익도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난해 12월 CJ온스타일이 딜라이브, 아름방송, CCS충북방송과 송출수수료 협상을 해소하지 못하고 송출을 중단한 이른바 블랙아웃 사태는 두 사업자 간의 갈등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업계 관계자는 "송출수수료의 일방적인 인상은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협상을 통해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결과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정부 중재 또한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