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과잉생산·저가공세에 국내 업계 ‘고전’
[한스경제=김창수 기자] 지난해 글로벌 음극재 시장을 중국 업체들이 독차지하며 강세를 보였다. 포스코퓨처엠은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21일 ‘LIB 4대 소재 SCM분석 및 중장기 시장전망’ 보고서에서 전세계 음극재 출하량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리튬이차전지 음극재 수요(사용)량은 197만톤, 음극재 출하량은 211만톤 수준을 기록했다. 2023년과 비교하면 수요량과 출하량은 각각 26%, 25% 늘었다.
전체 음극재 출하량 중 인조흑연은 176만톤으로 약 83%를 차지했다. 천연흑연은 29만톤14%), 실리콘 음극재는 4만1000톤(1.9%)으로 집계됐다.
출하량 기준 1위부터 10위를 모두 중국 기업이 차지했다. 1위는 BTR(贝特瑞)로 총 43만2000톤 이상 출하했다. 산산(杉杉)이 34만톤으로 2위, 신줌(星城)이 21만3000톤으로 3위, 샹타이(尚太)가 20만8000톤, 카이진(凯金)이 15만8000톤, 쯔천(紫宸)이 13만5000톤 등으로 순위에 올랐다. 상위 10곳의 점유율은 84%에 달했다.
반면 한국 포스코퓨처엠, 일본 레조낙 등은 중국 업체들의 과잉 생산과 저가 수주 경쟁에 밀려 상대적으로 고전했다.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2020년 6위에서 2021년 8위, 2022년과 2023년에는 10위로 순위가 떨어졌다. 지난해에는 11위(2만 7200톤)에 그쳤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인한 수요 둔화 및 미국 정부 중국산 흑연 음극재 공급 유예로 타격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산 흑연 제품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린 것도 부진 원인으로 꼽힌다.
일본 레조낙도 중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철강업체용 흑연 전극 생산을 중단하고 생산 라인을 축소했다. 레조낙은 리튬이온배터리(LIB)용 음극재 흑연에서도 사업 확대에 소극적이다.
지난해 하반기 인조흑연 시장은 상반기 대비 37%,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천연흑연은 상반기보다 23%,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에는 중국 업체들의 인조흑연 출하량이 급증했다. 이는 하반기 중국 내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수요가 증가하면서 배터리 업체들의 구매량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됐다.
SNE리서치는 올해도 중국 인조흑연 강세 속 상위 6개 업체의 출하량이 유지 또는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창수 기자 charles@sporbiz.co.kr



